3.147.104.248
3.147.104.248
close menu
KCI 등재
사회공포의 구조모형 분석: 행동억제, 신체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ocial phobia
홍영근 ( Hong Young Keun )
UCI I410-ECN-0102-2017-370-00038413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공포를 발생 및 유지시키는 변수인 행동억제, 신체상, 자기효능감과 사회공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7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사회공포, 행동억제, 신체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행동억제와 신체상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사회공포를 일으키는 모형이 값, TLI, SRMR, CFI, RMSEA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행동억제와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평가가 사회공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기 보다는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사회공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의 사회공포의 인지모형인 Rapee와 Heimberg의 사회공포의 인지모형과 Clark과 Wells의 사회공포의 인지모형 등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였고, 치료 장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 variables of social phobia. 176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behavioral inhibition, body image, self-efficacy, social phobia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sed using Amos 18.0 and a maximum likelibood mimimizati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TLI,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behavioral inhibition and body image 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Second, the direct effect of self-efficacy on social phobia was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behavioral inhibition and body image was mediated by self-effica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