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0.25
18.224.0.25
close menu
KCI 등재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도 및 동적 균형 능력, 보행 척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ynamic Balance Ability, Gait Scale in Stroke Patients
차현규 ( Cha Hyun Gyu ) , 지상구 ( Ji Sang Goo )
UCI I410-ECN-0102-2017-370-000372485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지역사회 보행 훈련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하지 근활성도 및 동적 균형 능력, 보행 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보행 훈련군 14명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 13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하지 근활성도 측정은 활동전위의 실효치값으로 분석 하였고, 동적 균형 능력 검사와 6분 걷기 검사, 위스콘신 보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훈련은 6주 동안 1주일에 3회, 각 30분씩 지역사회 보행 훈련 군은 지역사회 훈련을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와 집단 간 비교를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지역사회 보행 훈련군은 대퇴사두근, 슬괵근, 비복근, 전경골근의 근활성도, 동적 균형 능력, 6분 걷기 검사, 위스콘신 보행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은 대퇴사두근, 슬괵근, 비복근, 전경골근의 근활성도, 동적 균형 능력, 위스콘신 보행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지역사회 보행 훈련 군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의 훈련 전후 비교에서 대퇴사두근, 슬괵근, 전경골근의 근활성도, 동적 균형 능력, 6분 걷기 검사, 위스콘신 보행 척도에서 유의한차이가 있었다(p < .05).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보행 훈련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트레드밀 보행훈련에 비해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of a certain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ynamic Balance Ability, Gait Scale in Stroke Patients. Twenty-seven chronic stroke patient participa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group(n =14) and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for the lower limbs muscle activity, RMS of action potential were analyzed and dynamic balance test, 6 minute walk test, wisconsin gait scale. The training process included training 3 times a week for 6 weeks, 30 minutes per sess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Quadriceps, Hamstring, Gastrocnemius, Tibia anterior, Dynamic balance test, 6 minute walk test, Wisconsin gate cale for the walking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group(p < .05). The treadmill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Quadriceps, Hamstring, Gastrocnemius, Tibia anterior, Dynamic balance test, Wisconsin gate scale (p < .05).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rate for the Quadriceps, Hamstring, Tibia anterior, Dynamic balance test, 6 minute walk test, Wisconsin gate scale for the walking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group and treadmill training group(p < .05). These results show that walking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and treadmill trai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muscle activity of lower extremities and dynamic balance, and walking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is more effective than treadmill train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