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67.251
18.222.67.251
close menu
KCI 후보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Playfulness) 특성 연구 -놀이다움 평정척도(Test of Playfulness)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yfulness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진흥신 ( Jin Heung Shin )
UCI I410-ECN-0102-2017-370-000569828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놀이다움평정척도(Test of Playfulness)에 반응한 정신지체아동이 Rasch측정 모델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알아보고, 둘째 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특성 즉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수준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일반발달아동 23명(남 12명, 여 11명), 정신지체아동 23명(남 12명, 여 11명)으로 총 46명이다. 정신지체아동 23명의 연령범위는 30개월-160개월이고 일반발달아동 23명의 연령범위는 30개월-151개월이다. 본 연구에 사용한 놀이다움 평정척도는 Bundy(2003)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제작한 버전 4.0를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놀이다움 평정척도에서 얻어진 원점수를 Rasch 분석하여, 정신지체아동의 피험자반응 적합도를 조사하고, 일반발달아동와 징신지체아동의 놀이다움 평정척도에 반응한 문항반응 측정치 비교를 통하여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부재, 참조체계의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점은 첫째, 놀이다움 평정척도를 정신지체아동에게 적용하여 피험자 반응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Rasch측정 모델에 91.30% 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정신지체아동의 동기근원은 일반발달아동 보다 내적동기성향을 보였다. 통제지각 중 독자적통제지각은 일반발달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공유적 통제지각은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내적 통제지각의 성향을 보였다. 현실감부재능력은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자유로운 현실감 부재 능력을 보였고, 참조체계능력 또한 일반발달아동이 정신지체아동 보다 자유롭게 사회적 단서를 주고받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I examined validity of person response of a Test of Playfulness(ToP)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of motivation, the perception of control, the suspension of reality and the framing, which are the factors of playfulness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30 to 160 months(23 children were normal development, 23 children wer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ToP reflects four elements of play: the source of motivation, the perception of control, the suspension of reality and the framing. The ToP is an observational assessment administered during free play in familiar environments with familiar peers. ToP data were analyzed using Winstep, a computer program for Rasc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urce of motivation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d more intrinsic motivation than normal development children. The perception of control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d more external perception of control than normal development children. The suspension of reality and framing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ppeared a little fre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