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36.174
18.191.236.174
close menu
KCI 등재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비디오 활용 사회상황이야기 중재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Video Modeled Social Story Intervention for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조재규 ( Jo Jae Gyu )
UCI I410-ECN-0102-2017-370-000570176

본 연구는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비디오 활용 사회상황이야기중재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A 특수학교 초등부에 재학중인 8세에서 10세 사이의 자폐성 아동으로 관찰과 면접을 통하여 3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사회적상호작용의 향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시각적 분석과 중재 상황에서의 평균, 표준편차, 기울기, 중복된 자료의 비율에 근거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디오 활용 사회상황이야기는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다. 적절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아동별 변화는 기초선 단계에서 모든 아동의 행동 수준은 매우 낮았으나 중재 1단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중재 2와 유지 단계에서도 증가된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일반화 상황의 행동 변화는 모든 아동들이 중재 상황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유지 단계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디오 활용 사회상황이야기 중재는 자폐성 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중재 방법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특히 이 방법은 적절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향상 및 유지 뿐 만 아니라 장소와 대상 일반화에서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언어적, 인지적 수준이 낮은 자폐성 아동에게도 유용하며 나아가 부적절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video modeled social story interventions for children diagnosed with autism to improve their social interaction. Thre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utism, the age of 8 and 10,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he video modeled social story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o the subject. The dependent measures for each subject consisted of specific target behaviors that occurred in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contexts. visual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clination, overlapping data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The intervention showed effectiveness i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ppropriate social interaction with all the subjects. As the intervention session were advancing, the proportion of appropriate social interaction was rapidly increased while relatively, the proportion of the absence of social interaction was promptly decreased. And in the stage of maintenance after the intervention has been closed, the state remained intact. The increased level of the appropriate social interaction were generalized to different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 video modeled social story intervention may have effectiveness to improve appropriate interaction in social context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dditionally, the intervention may have effectiveness in managing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