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30.232
3.19.30.232
close menu
KCI 등재
집단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정서, 삶의 질 및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Cognition, Depressive mood, Quality of Life and BPSD(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Dementia
최애나 ( Choi Ae Na ) , 류기광 ( Ryu Ki Kwang )
UCI I410-ECN-0102-2017-370-000570323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정서, 삶의 질 및 치매로 인한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S구 G동 치매 주간보호센터에서 주간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총 22명의 치매 환자중 전반적인 행동 통제가 어렵고 의사소통이 힘든 2명의 환자를 제외한 치매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신과 전문의에 의하여 측정된 MMSE 상의 인지 기능 정도와 NPI-Q 상의 치매로 인한 정신행동증상의 심각도 및 고통 정도가 비슷한 환자군을 짝지어 실험군과 대조군 각 10명씩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주3회 50분씩 총 15회의 집단음악치료를 시행하였고, 음악치료가 시행되는 동안 통제군은 기타 치료적 처치 없이 자유시간이 주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방법으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평균, 표준편차와 함께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를 시행한 실험군에서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지 기능의호전은 입증되지 않았다. 둘째. 음악치료를 시행한 실험군에서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우울정서, 삶의 질 영역에서의 호전을 보였다. 셋째. 음악치료를 시행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신행동증상심각도 및 보호자의 주관적 고통 정도의 호전을 보였으며, 특히 우울/낙담, 불안, 탈억제, 과민/불안정의 하위 항목에서의 호전이 두드러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악치료가 인지 결함으로 인해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들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방식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적 갈등을 배출 할 수있는 중요한 통로를 마련해 줌으로써 치매 환자들의 정신행동증상들을 호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치료적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emotion,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behavioral symptoms caused by dementia of elders with dement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patients with dementia among the 22 patients in total who are receiving daytime care services from daytime dementia care center in G-dong, S-gu, Incheon city excluding 2 patients who had difficulties in overall behavior control and communication. The 20 patients with dementia were grouped by the care team in the center which had been taking care of the patients firsthand into 10 each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y coupling the patients with similar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based on the MMSE as measured by specialists in psychiatry within 1 month before the beginning of the study and the severity and degree of pain of psychological-behavioral symptoms on NPI-Q. The experiment group was treated by group music therapy executed 50 minutes a time, 3 times a week, 15 times in total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of free time without any other therapeutical treatment while the music therapy was being executed. Both of the group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s t-test along with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s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of cognitive function was not proven in the experiment group on which music therapy was executed compared to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 group treated by music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depressive emotion an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 group treated by music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everity of psychologicalbehavioral symptoms and subjective degrees of pain of care givers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especially, the improvements were prominent in the sub categories of depression/frustration, anxiety, out of control, hypersensitivity/ unstable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