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71.12
18.223.171.12
close menu
KCI 등재
Making Eye Contact in Relation to the Cross-Cultural Situations
김건희 ( Kim Keon Hee ) , 문혜숙 ( Moon Hye Sook )
UCI I410-ECN-0102-2017-370-000570898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통합교육 현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교사들의 지도과정에서 “눈 맞춤 역할”이 어떤 현상으로 양국 간에 차이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다문화 교사태도와 관련된 질적 분석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미국과 한국의 유아 및 초등 저학년수준의 자폐아동들을 지도하는 교사 약 70명을 대상으로 직접관찰 및 면담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문화비교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2가지로 구분하여 제시될 수 있다. 첫째, 미국문화에서의 교사지도 관점은 우선 발달지체 유아나 아동들의 학습향상을 위해서는 적극적으로“눈 맞춤 하기”가 유익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는 사실이다. 둘째, 한국의 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나 아동들에 대한 지도 관점을 우선 눈 맞춤에 두지 않고, 다만 발달지체 자체가 유아나 아동들이 지닌 눈 맞춤 기능을 저하시키고 있음으로 이는 어쩔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눈 맞춤하기 지도”자체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의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문화 자체가 발달지체 유아혹은 아동과의 눈 맞춤에 대한 학습지도상의 중요성이 다르게 지각되고 있음으로 한국의 경우에는 유아 혹은 아동에 대한 학습능력향상이 가능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교사들의 지도방향에 따라 유ㆍ아동들의 눈 맞춤기능이 향상가능하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교사와 아동의 눈 맞춤 빈도 증가 여부는 교사의 적극적 지도관점에 따라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고로 눈 맞춤 기능 증가 수준의 향상은 유ㆍ아동의 교과학습능력 향상에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cross-cultural qualitative analysis of educators in selected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s at selected site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t examines how educators interpret the eye contact of students labeled with autism. The social requirements for, and interpretation of, non-verbal communicative behaviors differ between the U. S. and South Korea. The study is based on 70 interviews with educators who have experience with students labeled with autism in inclusive classrooms at preschool and elementary levels in both countries. The data analysis uses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Many of the American teachers we interviewed indicat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students labeled with autism to make eye contact; whereas, most of the Korean teachers interviewed did not mention the importance of making eye contact as much as American teachers. Many of the American teachers we interviewed observed the improvement in making eye contact, and a couple of teachers mentioned students’improvement of the frequency of eye contact. The study reveals that the teachers’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aking eye contact is differ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 importance of making eye contact is related to particular cultural requirements. Also, the frequency of making eye contact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how students are educa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