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184
3.145.2.184
close menu
KCI 등재
국어과 교재의 상대 높임 화계 설정과, 구어 현실
A Settlement of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and Authentic Spoken Language
홍종선 ( Hong Jongseon ) , 김서형 ( Kim Seohyung )
UCI I410-ECN-0102-2017-710-000543964

국어 생활에서 상대 높임 표현은 지금까지 체계상의 변화를 더욱 많이 겪었으나 그 상대 높임 화계는 20세기 전반기에 국어학에서 세운 체계를 별다른 수정이 없이 지금까지 답습하고 있다. 국어의 높임법 체계와 구성은 국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국어 사용자의 인식을 충분히 배려하여야 한다. 더구나 (한)국어 교육을 위한 높임법 체계는 국어의 일반 사용자에게 설명력을 제대로 갖추고 국어 학습자들도 가급적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일반화되어 있는 4등급의 격식체와 2등급의 비격식체라는 2원적 상대 높임의 기본적인 화계는 오늘날 비현실적이므로 1원적인 체계로 하였다. 발화의 격식성은 주로 어조에 의해 결정되며 다양한 발화 태도 개입 요소들도 종결 어미의 형태 차이보다 크게 작용하므로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구분이 별 의의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학이나 국어 교육학에서의 기존 연구 내용을 재조정하고 언어 현실에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가장 높은 등급부터 ``하십시오체, 하세요체, 해요체, 해체, 해라체``라는 5등급과 그에 해당하는 대표형을 상정하였다. 이에 중·고교 국어과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는 그 사용이 매우 적고 극히 일부에 국한되어 있는 ``하오체``와 ``하게체``는 제외하되, 다만 심화 학습으로 이를 다룰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Even though Korean relative honorific expressions have gone through a lot in terms of systemic change in real life,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has followed the system which set up by Korean linguistics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as before without any modification.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and construction should be based on the theory of Korean linguistics with consideration of Korean Speaker`s realization and awareness. Moreover the research of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for Korean education has to seek the explanatory to Korean normal speakers and provide comprehensible content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of as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is realized in mono system as a basic relative honorific system. This is from the idea that it is not realistic that there is four kinds of classes of formal style and two kinds of classes of informal style in dual system of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The formality of utterance commonly depends on tone and involves the intervention elements of utterance manner. Hence, the dual system of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is not meaningful. This paper tries to set up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from ``Hashipsio, Haseyo, Heyyo, Hey, and Heyla style`` according the degree of honorification and presents the retrospectives form of them by each. This is through reformulating the former researches and taking the frequency of use in real life. To educate Korean as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 this paper also suggest that ``Hao-style`` and ``Hagye-style`` are excluded from the basic system but handled in enrichment program.

Ⅰ. 머리말
Ⅱ. 상대 높임의 화계 설정 실태와 구어 현실
Ⅲ. 사용자 중심 교재의 상대 높임 화계
Ⅳ. 마무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