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74.168
18.191.174.168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중국·미국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비교 연구-『연세한국어 6』, 『韓國語 4』, 『Integrated Korean-Advanced Intermediate 1』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Advanced Level of Korean Dialogues in Korean, Chinese, and English Textbooks-Centered on 『Yonsei Korean 6』, 『韓國語(Korean) 4』, 『Integrated Korean Advanced-Intermediate 1』
임칠성 ( Im Chilseong )
UCI I410-ECN-0102-2017-710-000544012

이 글은 한국과 중국과 미국의 대학에서 사용되는 고급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을 고급 한국어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화법 능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교재는 "연세한국어 6-1과 6-2; 韓國語 4; Integrated Korean-Advanced Intermediate 1"이다. 말하기 듣기 언어 기능의 숙달과 말 문화의 소통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말하기·듣기 언어 기능의 측면에서 세 교재를 분석하여 비교해 보면, "연세한국어"는 형식의 측면에서 보자면 다양한 분야의 전문 화제를 선정하여 대화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대화, 인터뷰, 공청회 등 전문적인 업무에서 요구되는 담화 유형을 대화문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내용의 측면에서 보자면 대화문을 대화 자체의 능력 신장을 위한 재료로 사용하지 않고 대화문에 있는 내용을 이해를 시키기 위한 일종의 글로 제시하고 있었다. "韓國語"는 문화적인 화제를 주로 선정하고 있다. 그러나 화제의 내용이 시기적으로 오래된 것이어서 현대적인 감각에 맞지 않았다. Integrated Korean은 다른 교재와 달리 구어적 특성이 많이 반영되어 대화의 실제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구어 문법에 대한 교육, 대화 상황에 대한 역동성 확보, 상대적으로 짧은 발화의 길이 등이 그것을 입중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화문이 일상 대화에 머물러 있어서 고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전문 분야의 다양한 화법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는 적합하지 않았다. 문화 영역의 측면에서 세 교재를 분석하여 비교하면, "연세한국어"는 시어머니와 며느리 등 상하 관계 중심 소통을 교육할 수 있는 참여자를 설정하고 있지만 대화문은 정작 그들 사이에 소통되는 말 문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韓國語"는 체면치레 인사말, 우리 가족과 표현의 사용 등과 같이 우리 중심 소통 문화를 대화문에서 잘 반영하고 있었다. Integrated Korean에서는 인정 중심 소통 문화에 대해 소개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모든 교재가 한국의 말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인 고맥락 소통 문화, 말을 삼가는 문화에 대해서는 거의 반영을 하지 않고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arious Korean dialogues of Higher Level of textbooks, which is currently used in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y analyzing the aspects of speech communication abilities for the advanced Korean speaking learners. This research will examine "Yonsei Korean 6; 韓國語 4; Integrated Korean-Advanced Intermediate 1". It analyzed and compared the level of proficiency, which is related to the skill for speaking and listening tasks, 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which is close to language culture. In the aspect of its proficiency level, "Yonsei Korean" contains details of the various topics which construct effective face-to-face professional dialogue, interview, and public hearing etc. The most important part here is that the textbook takes full advantage of the conversation and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t for learners, not to use the material for improving conversational skills. Meanwhile, "韓國語 4" mainly selects cultural issues, which is usually old and out of date. In contrast with other textbooks, we can know "Integrated Korean" shows verbal communication traits and provides rather natural dialogues if we examine closely: spoken grammar activities and exercises, the actual conversational situation, and relatively short length of utterance. Despite its merit, the only problem with this book is that the level of conversation is just suitable for beginners. Next, let`s compare them in terms of culture. Although "Yonsei Korean" shares a common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like mother and daughter in law relationship, it does not represent the actual way of language usage in the cultural context. "韓國語 4" reflects Korean culture learning well: the showing of politeness toward others with courtesy and good remarks, family relationships and face. "Integrated Korean" introduces the usual humane communication culture. However, all the three of them rarely show high context culture and reserved expressions, which is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Ⅰ. 서론
Ⅱ. 분석의 기준 설정
Ⅲ. 대화문 개관
Ⅳ. 언어기술 영역의 분석
Ⅴ. 문화 영역의 분석
Ⅵ. 세 교재의 비교
Ⅶ.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