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44.108
18.224.44.108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주의 교양으로서의 독서와 문예지 독자의 위상-북한 『조선문학』 독자란의 역사적 변천과 문화정치적 함의-
Reading, the Socialistic Culture, and Status of Readers of Literary Magazines-Historic Changes in Readers` Columns in Joseon Literature of the North Korea & Cultur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김성수 ( Kim Seong-su )
반교어문연구 43권 77-108(32pages)
UCI I410-ECN-0102-2017-810-000544222

이 논문은 북한문학 연구의 지평을 새롭게 열기 위해 독자사회학적 접근법을 제안하는 시론(試論)이다. 전통적인 역사주의적 접근법에 더해서, 문학 텍스트를 수용하는 독자들이 문예지 투고란등을 통해 어떠한 역동적인 반응을 보였는지 그 미디어적 존재상황을 탐구하여 새로운 의제 설정을 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북한문학을 대표하는 문예 기관지 『조선문학』(1946~2015, 『문화전선』·『문학예술』 前史 포함 통권 820호) 독자란의 독자사회학적 분석과 독서사회사적 접근을 통해 북한문학에 대한 공시적 의미의 독서사회학과 통시적 의미의 독서의 사회사를 개괄적으로 조망한다. 가령 195,60년대 활성화되었던 문예매체의 독자란과 토론문화가 197,80년대의 위축기를 거쳐 2000년대 들어서서 축소·폐지되다시피한 전후 정황과 그 문화사적 맥락을 해석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주의 선전시스템의 역동성과 문예지 독자의 위상 변화를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그 문화정치적 함의를 읽어내려 하였다. 그 결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학의 보편성을 지녔을 때의 북한문학 독자들이 지녔던 역동성과 적극성이 주체문예론 이후 어떻게 약화되고 사라졌는지 알 수 있었다. 문예지 독자란의 역사적 부침을 조망해보면 주체문학·선군문학이 주류인 현재 북한문학의 독자란 기능과 독자 위상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토론문화가 활성화되었던 195,60년대와는 달리 축소되고 약화되었다. 처음에는 사회주의 건설의 교양 대상으로 출발하여 한때 문학 창작의 강력한 동반자이자 주체적 동인으로 격상되었던 독자의 위상이, 주체문예론의 유일화 이후 개인숭배와 당 정책의 일방적 계도 대상으로 위축되고 무력화된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reader-focused sociological approach to open up new horizon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study.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what kind of dynamic reactions were shown by readers acceptive of literature texts to contributor`s columns of literary magazines, exploring the presence of media, and set forth new agenda. Specifically, we examined general reading-based sociology synchronic significance and reading-based social history of diachronic significance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s through analysis of reader-focused sociology and reading-based social history in connection with readers` section of Joseon Literature(1946~2015, vol. no. 820), the most prominent North Korean literary magazine.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the situation in which readers` columns and discussion culture, which had been promoted in 1950s and 1960s, were scaled back in 1970s and 1980s and subsequently declined and almost vanished in 2000s, along with concerned context of cultural history. In that process, diachronic analysis were performed on dynamicity of socialistic propaganda system and changes in status of readers of literary magazines while deriving implications from social and political standpoints. The results of diachronic analysis showed how the emergence of Juche literary theory led to decline and disappearance of dynamicity and positivity displayed previously by readers of North Korean literatures that had universality of aesthetics of socialistic realism. When historic changes in readers` columns are considered, the functionalities of readers` columns and status of reads have been declined and weakened significantly in North Korea literature that has a preponderance of Juche Military-first literary works, compared to the period between 1950s and 1960s which witnessed vibrant discussion culture of socialistic realism. Readers, who was once recognized as the building blocks of socialism, have been relegated to the existences subject to personality cult and unilateral enlightenment pushed forward under policies of political party since Juche literature theory became the one and only theory in the North Korea, although their status was elevated to that of powerful companions of literary creation and driver of Juche ideology.

1. 머리말 : 북한문학의 독자사회학적 접근
2. 『조선문학』(1946~2015) 독자란의 역사적 변천
3. 사회주의 선전시스템과 문예지 독자의 동역학
4. 마무리 : 독서 교양의 사회주의적 기획과 독자의 위상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