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234.184.8
54.234.184.8
close menu
KCI 등재
신경준(申景濬)의 『장자(莊子)』 독법(讀法)과 『시칙(詩則)』에 담긴 시의식
The way of reading of Jang-Ja(『莊子』) and poetic awareness in Shi-Chick(『詩則』) from Shin Kyung-Jun
신익철 ( Shin Ik-cheol )
반교어문연구 43권 169-198(30pages)
UCI I410-ECN-0102-2017-810-000544257

신경준(申景濬)은 해박한 학문 세계와 함께 일정한 사승 관계가 없이 자득(自得)을 중시했으며, 이단에 관용적이며 기술과 실용을 중시하는 면모를 지닌 점에서 18세기 사상사에서 매우 독특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이다. 그의 학문은 소북(小北)의 가학 전통에서 서울 학풍을 소화하여 17세기 이후 북인 계열이 주도해 왔던 박학 풍조, 삼교회통(三敎會通)적인 사상의 맥을 계승한 점이 주목된바 있다. 이 글은 < 서장자제물론후(書莊子齊物論後) >와 『시칙(詩則)』의 분석을 통해 신경준 학문관의 독특한 면모를 구체적으로 해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신경준은 제자백가의 사상은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여 나름의 학설을 이룬 것이기에, 폭넓게 수용해서 자신의 식견을 풍부히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다. 이러한 그의 학문관은 『장자·제물론』에 대한 독후감인 < 서장자제물론후(書莊子齊物論後) >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신경준은 「제물론」에 등장하는 주요 용어에 부호를 사용하여 구분하며 텍스트를 분석적으로 고찰하여, 천(天)·심(心)·이명(以明)·인시(因是)를 자안(字眼)으로 삼아 핵심 논지를 파악하였다. 신경준은 장자가 천(天)과 심(心), 곧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설정함에 있어서나, 이명(以明, 올바르게 인식함)에 있어서는 유가의 인식 체계와 다르지 않다고 하면서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신경준은 장자의 오류를 인시(因是, 이치에 따라 행동함)의 인(因)에서 찾았는데, 사회적 실천을 방기하는 태도가 여기에서 연유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신경준의 장자 비판의 핵심이 장자의 인식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의 문제에 있음을 말해준다. 장자가 지닌 인식과 실천의 괴리는 천하사를 자신의 직무로 삼는다는 그의 실학적 학문관에 정면으로 배치되기에 신경준은 이를 통렬히 비판했다. 「시칙』은 체(體)·의(意)·성(聲)의 3요소를 시의 본질로 파악하고 성율을 중시한 시학서인데, 이는 양재(楊載)의 『시법원류(詩法原流)』와 윤춘년(尹春年)의 성률학(聲律學)을 수용한 것이다. 『시칙』에서 신경준의 창견은 시를 인용하면서 자신의 시론을 개진한 부분에 있는데, 인용시에 악부와 고체시가 대다수를 차지하여 주목된다. 신경준은 이백(李白)의 악부시를 대거 인용하며 옛 풍미(風味)를 깊이 깨우쳤다고 하였는데, 이는 그가 시학에서 중시한 고조(古調)와 상통한다. 신경준이 시학에서 강조한 고조는 ``조선의 풍속과 정조를 전통적 가락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으로, 이는 국토에 대한 애정과 강한 민족의식을 지닌 그의 학문관에 부합되는 시의식이다.

Shin Kyung-Jun(申景濬) had focused on self-satisfaction in terms of knowledge or studies, without relations between master and pupil. He is very worthy of notice in 18 centuries, because he was tolerate foreign studies and also consider technology and practical use to be the important thing. His study is from the tradition of home-studying of So-Buk(西北) which was a political faction at that time. He succeeded wide knowledge and Sam-Kyo-Heo-Tong(三敎會通) that was the theory of combin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haracters of Shin Kyung-Jun in studies from the Seo-Jang-Ja-Je-Mul-Lon-Hu(「書莊子齊物論後」) and Shi-Chick(『詩則』) Shin Kyung-Jun regarded Je-Ja-Baek-Ga(諸子百家) that was the theor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as important learning, because it contains the changing times in his thought. It shows in Seo-Jang-Ja-Je-Mul-Lon-Hu that was his book report about Jang-Ja(『莊子』) and Je-Mul-Lon(「齊物論」). He focused on a few words such as ``sky``, ``heart``, ``Lee-Myung(以明)``, ``In-Si(因是)`` which is epistemology, and ``enlightenment``, these words makes him understand the theories. He agreed the relation between sky and heart those are nature and human being, and Lee-Myung as well. He found the error in Jang-Ja, it was ``In-Si`` which is reasonable actions, because he thought that ignore the practice of social things. He strongly criticized Jang-Ja in this sense, because it is against on his practical belief on studies. Shi-Chick was the book of poetic studying that emphasis on writing, mind, and sound. It is influenced by Si-Bup-Yeon-Ry((詩法原流)) > of Yang-Jae(楊載) and Seong-Rule-Hak(聲律學, Study of Rhythm) of Yun Chun-Yeon(尹春年). In Shi-Chick, Shin Kyung-Jun`s one of the fundamental founding was using the poem to support his work, and these are mostly Ak-Bu poems(樂府詩) that are related with music, and Go-Che poems(古體詩) that is free form style in poem. He was using Lee-Baek(李白)`s Go-Che poems largely, and then he realized the beauty of classic in there. This has a lot of meaning in terms of old tune that he stressed on his book. What he was emphasizing is that old tune stands for the custom of Joseon, and it shows that his study is correspond to the love of country and strong national spirit.

1. 머리말
2. 신경준의 『장자(莊子)』 독법(讀法) : 인식과 실천의 괴리 비판
3. 『시칙(詩則)』의 저작 성격과 고체시(古體詩)에 대한 중시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