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22.195
3.138.122.195
close menu
KCI 등재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Highschool Students` Writing from Sources in Small-Group
김태경 ( Kim Tae-gyeong )
작문연구 30권 101-140(40pages)
UCI I410-ECN-0102-2017-800-000545730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학습자의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 양상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와 사서교사가 공동으로 두 차례에 걸쳐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연구자가 제안한 10가지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 다음, 자료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해당 주제에 대한 단행본들이 일부 제공된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자료를 탐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합하는 글쓰기 활동을 하여 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학습자의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양상에서 관찰된 것은 소집단 구성원들이 ``지시하는 자``와 지시받는 자``로 나뉘었고, 과제 수행을 하는 데 시간 부족을 호소하였으며, 자료 탐색 과정에서 자료의 양이 많고, 학술논문과 같은 전문 정보 독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특정 학습자 홀로 모둠원들이 추출한 내용을 통합하였다는 점이다. 활동 양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의 구조는 먼저, 학습자들은 서로의 학업 수준에 따라 자신을 포함한 모둠원들의 능력을 판단하고 스스로를 지시하는 자와 지시받는 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과제 수행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지시하는 자를 중심으로 철저한 역할 분담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였고 과제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모둠원들은 중심 활동에서 배제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자료 탐색의 과정에서 자료의 신뢰성과 적절성에 초점을 두지 않고 자료에 접근하기 편하거나 인용하기 편리한지 등에 따라 자료를 선택하여 글쓰기에 활용하였다. 효율성의 추구는 특정 모둠원만이 자료를 통합하는 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귀결되었다. 개인에게 집중된 자료 통합 활동은 과도한 인지적 부담을 가져왔고 이 과정에서 모둠원들이 추출한 자료의 맥락 파악의 어려움 호소, 출처 표기와 자료 통합적 글쓰기 관습 소홀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을 경험한 학습자들의 반응에서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제한된 시간 내에서라도 충분한 학습자 활동 시간을 보장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가 학습자의 삶과 좀 더 긴밀한 연관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모둠원들 간 특성이 가지는 차이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학습자 대화에 개입을 하여야 한다. 넷째, 논문과 같은 전문 자료를 학습자들이 읽어낼 수 있도록 소집단 내 상호작용을 위한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료들에서 추출한 정보를 맥락에 맞게 재구성하는 과정에 모둠원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small-group`s writing from sources and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class was designed ``writing from sources`` for second grade in high school by the researcher and school librarian teache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proceeded as follows. Initially, students in the small-group chose one among ten topics provided from the researcher and were educated how to use source from the school librarian teacher. Then, they were actively searching sources and extracting proper informations. Finally, they wrote a report together from sources. By observation,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people who instructed and people who was instructed. And they appealed a shortage of time, too much sources, hard to reading professional sources like academic essays. Reached the writing a report, a single student integrated extracted sources which is not well organized. The way of the small-group`s writing from sources were found some characteristics. A student judged the abilities of the group members as their learning level included himself. Then, the members of group were distinguished people who instruct and people who were instructed. Only for the purpose of an efficient task execution, a person who instructs became the leader. He assigned roles to the members and in some cases, excluded a member who had not ability to carry out task from an essential role. Also, students tended to not focus on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cy of sources. Instead, they preferred to make use of sources easy to access or cite. Efficiency is the best value of their activities. It might resulted from a single member of the group write a report from sources in a stage of excessive burdens for cognition. As a result, single member who instructed other members to do tasks had the difficulty understanding of context, made light of marking the sources and writing conventions. The study showed f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although in the limited time, classes should be guaranteed sufficient activity time for students. Second, writing tasks should be closely related with students` lives. Third, teacher should intervene in students` conversation for their taking note of their group members` characteristics. Forth, classes should be prepared educational methods for students` reading professional sources through communicating each other in their small-group. Last, teachers should desig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make all group members take part in the process restructuring extracted information from sourc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활동 양상
Ⅴ. 활동의 구조
Ⅵ.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