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32.116
18.216.32.116
close menu
KCI 등재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 사례연구-교수대화를 중심으로-
Case study of Assessment of Latent learning Ability of Writing
김철희 ( Kim Chul-hui )
작문연구 30권 141-185(45pages)
UCI I410-ECN-0102-2017-800-000545745

본고의 연구 목적은 학습잠재력 평가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작문 교육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의 적용을 위한 작문 학습잠재력 교수학습과 평가의 통합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인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 상황에서의 평가 도구이자 작문 교재로서 ``시작 단계 작문지``와 ``연쇄적 작문지``를 구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 적용 결과, 평가의 세부내용이자 교수대화의 유형으로 ``□수행 수준의 확인``, ``□필요한 도움의 결정 및 제시``, ``□작문과제 결정``을 확인하여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의 과정과 내용을 드러낼 수 있었다. 학습자의 발달 양상 측면에서는, 학생C의 5회기에 걸친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 및 교수학습을 통해 첫째, 수사적 맥락을 고려하는 능력 측면과 분량을 고려하는 측면에서 일련의 학습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글에 어휘의 개념을 활용하는 능력 측면에서, 사전적 개념을 활용하는 단계에서 점차 전략적으로 어휘를 사용해가는 단계로 학생C의 발달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첫 번째 회기에서 제공했던 교수적 개입 내용과 방법이 학생C의 근접발달영역에 해당하여 학습잠재력이 있는 적절한 학습내용이었음을 확인하여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pply dynamic assessment and scaffolding on writing for debat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By teaching discourse, the research suggests ways of assessment of latent lerning ability of writing. First, Assessment tools are writing paper of the beginning and successive writing paper. These tools can assess student`s ZPD successively. Second, the process is ``assess of performance``-``determine the needed help``-``determine the writing assignment``. This process is studied by teaching conversation. Third, Student C developed ability of consider writing context discourse texts to essay and using vocabulary strategically.

Ⅰ. 서론
Ⅱ.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
Ⅲ.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의 적용
Ⅳ. 작문 학습잠재력 평가의 양상과 결과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