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00.136
18.118.200.136
close menu
KCI 등재
김소월 시의 애도 주체와 유령의 존재론
Mourning Subject in Kim So-Wol`s Poems and Ontology of Specter
이광호 ( Lee Kwang-ho )
어문론총 69권 225-248(24pages)
UCI I410-ECN-0102-2017-810-000546791

이 논문은 김소월의 시에서의 ``애도 주체``와 ``유령``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김소월 시 텍스트에 드러나는 수행적 주체의 한 양상을 ``애도 주체``로 명명하고, 그 애도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유령``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김소월의 시는 상실의 시간을 잠재성의 시간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애도의 시간을 재구성한다. 애도의 주체는 사라진 대상에 대한 호명과 기억의 현재화를 통해 그 애도를 지속하고자 한다. 사라진 대상을 둘러싼 기억이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것은 유령적인 존재들이다. 소리와 냄새, 그리고 몽환적인 3인칭과 여성적인 존재로 출몰하는 유령적인 존재들은, 애도의 불가능성을 애도의 지속성으로 전환하는 이미지들이다. 유령은 소유도 동일화도 불가능한 비실재적인 가시성이고 ``존재자 없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의 시는 잃어버린 대상이 익명적인 존재로 재출현하는 방식으로서의 ``애도의 제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시들은 부재와 현존 사이의 실체화할 수 없는 유령의 경험이 갖는 미학적이고 윤리적인 의미를 드러내준다. 김소월 시에서 애도는 타자의 기억에 충실하면서 타자를 폭력적으로 동일화하지 않는 방식이다. 유령의 형식으로 되돌아오는 미지와 익명의 타자를 ``환대``하는 애도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이 한국시의 서정의 형식을 구성하는데 기여한 것을 생각한다면, 이런 분석은 한국현대시의 서정적 형식 안에 내재된 애도 주체로서의 시적 주체의 성격을 이해하게 해준다. 한국 서정시의 기본적인 형식이 상실된 대상에 대한 그리움과, 대상의 부재를 언어화하는 방식의 문제였다면, 애도의 형식은 한국 서정시의 미적 모더니티를 구성하는 문제적인 국면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ntended to deal with the ``mourning Subject`` and the image of ``specter`` appearing in Kim Sol-Wol`s poems. And it intended to call a patter of performing subject being revealed in Kim So-Wol`s poem texts as the ``mourning Subject``, and the to raise the question of ``Specter`` being revealed in the mourning process. Kim So-Wol`s poems recompose the mourning time as the way transforming the lost time into the creative potential time. The mourning subject intended to keep the mourning through calling a name to the lost object and making the memory present. It were the specter beings tha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calling out the memory around the lost object. The specter beings were the images conversing the impossibility of love and mourning into the continuality of mourning. Kim Sol-Wol`s poems can be expressed into the ``proposal of mourning`` as a way that the lost object reappeared as an anonymous being. Such poems reveal aesthetic and ethical meanings being contained in the experience of specter who can`t be embodied between the absence and the present existence. That is the way faithfully reminding the other`s memory but not violently synchronizing the other. The way can be said as the mourning ``welcoming`` the unknown other returning in the form of specter. Thinking Kim So-Wol`s contributory position in composing the format of lyricism of Korean poems, this analysis allow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as the mourning subject being inherent in the format of Korean modern poem`s lyricism.

1. 김소월 시에서의 애도와 유령의 문제
2. 애도의 불가능성과 애도의 지속성
3. 유령의 출현 방식과 존재 방식
4. 결론: 유령의 존재론과 환대의 윤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