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208.72
18.217.208.72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실태와 과제: 국내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Reality and Task of Collective Research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enter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 Articles
박재우 ( Park Jaewoo )
UCI I410-ECN-0102-2017-370-000539506

본 논문은 국내 장애 연구에서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향후 연구들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들의 연구 참여를 촉진하고 이들과의 공동 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3단계의 선정 과정을 거쳐 총 18개의 연구 논문들을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정된 연구 대상 논문들을 통한 국내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의 실태와 이에 따른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상황은 당사자와 이들의 주변인들을 포함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50세 이상 장 · 노년 지적장애인들과 공동으로 하는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인 연구 참여자를 전 연령층으로 확대하여 50대 이상 장 · 노년층의 관점도 포함할 수 있는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결과는 2000년대 말부터 장애인 복지 관련 학술지를 위주로 산발적으로 게재되고 있으며 그중 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에서는 지적장애연구에서 주로 게재되었다. 주된 연구 주제는 주거 관련 주제를 다루는 연구들이 가장 많았고 성이나 학령기에 관련한 주제들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 연구들에서 참여자 모집은 주로 시설 및 기관을 중심으로 한정되었다. 따라서 특수 교육 분야의 주제들도 당사자적 관점으로 구체화 되고 분석될 수 있도록 다양한 참여자의 확보 및 접근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의 전 과정에서 지적장애인들이 자기 결정권 행사를 통한 참여와 다양한 역할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연구 방법론에서 참여자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역할 규정이 필요하며 이들의 역할 분배를 위한 적극적인 연구 방법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eality of collective researches conducted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tudi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n propose tasks for future researches, and furthermore, encourage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earches and contribute to promotion of their collective researches. With this in mind, a total of 18 researche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3 stages of selection process. In Korea, the reality of collective researche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asks are as follows : First, collective researches in Korea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mostly composed of those involving the researchers and their acquaintances. Of those, researches on those over 50 years of age were extremely rare.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age range of the subjects in collective researches to cover the viewpoints of those 50 years or older. Second, collective researche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sporadically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specifically on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mostly dealt with studies on intellectual disability. Residential issue was the most common topic followed by gender and school ages. Moreover, in collective researche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ruiting participants was mostly approached by facilities and institutions. Hence, it is important to promote collective researches that actualize and handle the subjects on speci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cerned persons. Third, in the entire process of research, participating through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and taking various roles build core foundation of the collective research. Therefore,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regulations on more specific and diverse roles of participants and dynamic discussions on how to distribute these roles.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실태 및 분석
IV.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