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90.167
18.216.190.167
close menu
KCI 등재
오태석의 「초분」에 나타난 해체성과 상호텍스트성
Deconstruction and Intertextuality in 「Mummy grave」by Oh, Tae-Suk
안미현 ( Ahn Mi-hyun )
UCI I410-ECN-0102-2017-800-000494047

1973년에 발표된 오태석 (1940- )의 극본 「초분(草墳)」은 남서 도서해안 지방의 장례풍습을 주된 모티프로 삼고 있다. 이 극은 섬과 바다의 이미지와 섬의 생리, 섬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표상, 장례 의례 등, 지극히 토속적인 요소를 소재로 취한다. 또한 환경오염으로 생계 기반이 무너지는 상황에서 섬 주민들이 보이는 이해관계나 섬의 질서와 육지의법, 인륜과 경제 논리, 전통과 개혁, 남성과 여성 등의 대립항으로 이루어지는 극의 갈등 구조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같은 토속적 요소들과 이분적 구도는 서구극과의 상호텍스트적 맥락에서 해체되면서 포스트 모던적 모습으로 변용된다. 다시 말해, 이 작품은 대단히 토속적인 소재에도 불구하고 서구극과의 상호텍스트성을 강하게 드러내는데, 그 스펙트럼은 고대 그리스극에서부터 제의극, 부조리극, 잔혹극, 서사극 등 대단히 폭넓다. 서구극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극작가 오태석은 자신의 창작극에서구극의 많은 요소를 도입했고, 역으로 연출가의 입장에서 서구극을 무대에 올릴 때는 토속적인 소리나 춤, 전통 무술 등 우리 극의 고유한 전통을 십분 적용해 서구극을 새롭게 해석해 내었던 것이다. 많은 생략과 비약으로 이루어진 이 연극 텍스트는 해석상의 많은 어려움을 주지만 동시에 자유로운 해석과 공연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초분」이 우리 전통극의 수용과 해체, 서구극의 상호텍스트적 결합 방식을 토대로 우리 극을 현대화, 혹은 탈현대화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mages of the island and sea, the lifestyle of island habitants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s of death and funeral custom in the play 「Mummy grave」by Oh, Tae-Suk. Also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play which includes conflicts between the order of island and laws of the mainland, morality and economic logics, tradition and reform, masculinity and feminity etc., has been analysed, focused on how these traditional, premodern dichotomy systems have been deconstructed. Furthermore, literal and dramatical devices and linguist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intertextuality: This play dedicates a lot of similarities with western plays from the ancient up to (post-)modern time like the theater of cruelty, the theater of the absurd, the epic theater etc., even if it deals with very original Korean local motives. It could be explained that Oh as a playwriter was very familiar with western plays and, at the same time, as a regisseur he used to reinterpret western plays, so long as he inserts a lot of Korean traditional songs, dances, and martial arts in them. Lots of ellipsis and jumping in the logical and linguistical dimensions provide opportunities for different viewpoints and various performativity. In terms of the contamination of traditional motives and (post-)modern theatrical devices, this play has a chanc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verbal communication by means of dialogue and also to be received by a foreign audi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