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02.224
3.135.202.224
close menu
KCI 등재
중국 환경 시장 진출 지원 정책에 대한 연구: 삼폐(三廢)분야의 국내 중소기업 진출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licies to Support the Entry of Korean SMEs into the Chinese Environmental Protection Market
위강순 ( Kang-soon Wi )
환경정책 24권 3호 183-205(23pages)
UCI I410-ECN-0102-2017-530-000489981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우며 고속 성장을 이어온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오염을 배출하는 국가로 등장하면서 환경문제가 국내외 최대의 현안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강화되면서 중국 역사상 가장 엄격한 수준의 환경보호법인 「신환경 보호법」을 시행하고 있다.이러한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추세는 중국 환경산업에 중요한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중국과 인접해 있는 우리나라는 중국 환경시장 규모가 커지는 데 따라 중국진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97%가 중소기업인 국내환경산업이 중국의 환경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지원조직 및 역활정비, 정보의 차별화 및 등급별 제공, 환경기금 조성, 현장실무형 육성 등 맟춤형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이에 동 연구에서는 중국 환경오염실태와 시장현황, 그리고 국내외 시장진출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설문 조사 및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환경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내 중소업체의 중국환경시장 진출지원을 위한 현실적이고 실행가능한 정책과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China is called ‘the world’s factory’ and has recorded rapid industrial growth. In such a process, it has emerged as the most polluting country in the world. The environment is now regarded as the biggest pending issue both in China and beyond. Given increasing concerns over environmental pollution, the issue was adopted as a core agenda item at Lianghui in 2014 and 2015. In early 2015, China began enforcing its new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which has the most stringent content in its history. Such a move by China is expected to serve as a powerful growth engine for its environmental industry. Having close proximity to China, businesses in this Korea need to undertake systematic, strategic planning to explore opportunities in the Chinese environmental market. 97 percent of the Korean environmental businesses are classified as small-sized. To help domestic businesses make forays into the Chinese environmental market, it is necessary to train them systematically with a method suited to their level of development: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market along with financial support, and the formulation of a customized package-type policy, taking into account the need to avoid overheated competition among domestic businesses. There is also a need to set up a strategy to cope with non-tariff barriers associated with the ROK-China FTA. In response to such need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statu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market in China, and analyze relevant case studies as well as the results of field interviews, in order to make suggestions on realistic and feasible policies for the foray of domestic SMEs into the Chinese environmental marke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중국 환경오염 실태 및 환경시장 현황
Ⅳ. 국내 환경산업 현황 및 중국진출 시사점
Ⅴ. 중국 환경 시장 진출지원 정책 방안
Ⅵ. 결론요약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