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42.128
18.117.142.128
close menu
KCI 등재
디지털미디어 기반 미술 정보 활용 방안 연구 - 미술 감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Art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Media - Focusing on Art Appreciation Mobile Application -
허유경 ( Hur Yukyoung ) , 박승호 ( Park Seung Ho )
UCI I410-ECN-0102-2017-600-000480287

디지털 매체의 등장은 기존의 미술 정보 아카이빙(archiving)을 기준으로 관람객의 적극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관객들은 미술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관이 구축해온 아카이빙 자료가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관객에게 유의미하게 전달 될 수 있는 정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제공되는 디지털 기반 미술 정보 제공 서비스 중모바일의 사례를 크게 후퍼 그린힐(Hooper-Greenhill, E)의 주제어를 기반으로 콘텐츠 맥락의 측면과 정보 전달 방식,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후 분류된 세부 주제어들을 관람객의 감상 단계에 입각해 재배열 하였고, 재구성된 정보의 구조는 미술관이 주체가 된 정보의 유형화와 제공이 아닌 관람객의 이해 단계를 주체로 한 정보 구조를 구축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미술 정보 활용 방안은 향 후 웹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실제적 서비스 구축의 구체적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emergence of digital media has enabled visitors’ active intervention based on the existing art information archiving.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archiving data that art museums have developed so farcan be provided significantly to visitors and generate a contemporary appreciation code. This study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in case study analysis through the restructuralization of information that reflected visitors’ appreciation activities as the principal agent.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which was reframed for multilayered information approach and use by keyword, is meaningful as it has developed an information structure to mainly enhance visitors’ understanding.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art informa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setting the specific direction of actual transmedia storytelling service by art museums based on web later 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