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90.144
3.15.190.144
close menu
KCI 후보
외화 제목 번역 양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 - 1970년대~2010년대 영미권 외화를 중심으로
A Study for Changing Aspects of Translation of English Film Title into Korean -Focus on from 1970``s to Nowadays-
이영제 ( Lee Young Je )
영주어문 34권 37-64(28pages)
UCI I410-ECN-0102-2017-710-000597866

본고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국내 개봉된 영미권 외화 제목을 대상으로 한국어 번역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문법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이 함의하는 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대별로 외화 흥행 순위 상위 100편씩 총 500편을 선별하여 제목을 분석하였고, 외화 제목을 ① 직역/의역한 제목과 ② 단순 음차한 한글 제목으로 구별하였다. 시대별로 흐름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통사적 구성의 특징에 따른 언어적 분석을 시도하는 한편, 외화 제목의 번역 방식에 함의 되어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개봉 외화들의 제목은 외국어를 단순 음차한 명사류를 나열하는 구성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한국어로 번역된 제목의 수가 통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언어 사용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외국어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단순 음차되어 한글로 표기된 외국어는 일종의 명사류처럼 인식된다. 이는 영화 원제의 의미를 잘 드러내는 직역/의역 등의 번역 방식보다 단순음차한 명사류를 나열하여 ‘낯설게 하기’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고, 제목으로 하여금 간결하고 명료한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경우에 따라 외국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원제의 뜻을 해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외국어의 남용으로 이어져 교육적으로 문제가 되므로 향후 개선이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changing aspects of translation of English film titles into Korean that made from the 1970s to the 2010s. The English film titles translated into Korean were selected by the English film box office ranking top 100 in the 1970s and then to the 2010s. I distinguished the 500 pieces of film titles between literal/liberal translation titles and transliteration titles. I focused on analyzing syntactic constructions of the film titles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n revealing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that are implicated in. The English film titles in Korean are being gradually transliterated in Korean. It is estimated that because users prefer to go in the direction of a foreign language and seems to be related to the tendency to prefer a nominal element rather than a clause. Moreover, the number of literal/liberal translation titles declines decade by decade. The titles composed to nominal elements by transliteration into Hangeul give us a feeling of simplicity and clarity. In some cases, users prefer the titles transliterated into Hangeul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in advance because literal/liberal translation titles sometimes differ from the original titl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a foreign language. This trend leads to the abuse of language and make problems in terms of native tongue education. So the next improvement is required.

1. 서론
2.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3. 외화 제목의 시대별 번역 양상에 나타난 언어 사회 문화적 의미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