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255.127
3.146.255.127
close menu
KCI 후보
의존명사 ‘줄’의 기능 특화 양상
Functional Specialization of Bound Noun ‘jul’
정연주 ( Jeong Yeon Ju )
영주어문 34권 65-94(30pages)
UCI I410-ECN-0102-2017-710-000597871

본 연구는 후기 중세국어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의존명사 ‘줄’의 기능이 어떻게 특화되어 가는지, 그 양상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줄’은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 내포 의문절을 만드는 기능, “방도”의 의미, “연유”의 의미로 쓰였다. 이 중 가장 널리 쓰인기능은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이었다. 근대국어에서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을 하던 ‘줄’은 두 가지 변화를 겪는다. 첫째는 인지동사, 사유동사, 발화동사, 수신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류들과는 점차 공기하지 않게 되는 변화이다. 그 결과 ‘줄’은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명사구 자리에서 쓰이는 요소가 되어 간다. 둘째는 인지동사, 사유동사의 ‘로’ 논항 자리, 즉 사실로 전제되지 않는 내용이 나오는 자리에서 쓰일수 있게 되는 변화와 사유동사의 ‘를’ 논항 자리, 즉 사실로 전제되는 내용이 나오는 자리에서 쓰일 수 없게 되는 변화이다. 즉 이 시기의 ‘줄’은 ‘비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이 이전보다 강화되고 ‘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이 이전보다 약화되는 변화를 겪는다.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을 하던 ‘줄’은 현대국어에 들어서도 두 가지변화를 겪는다. 첫째는 갈수록 인지동사와 집중적으로 공기하게 되면서 ‘줄’의‘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명사구 자리에서 쓰이는 요소’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해진다는 것이다. 둘째는 실제 ‘줄’이 쓰인 사례들을 계량적으로 살펴보면 ‘비사실’의 인지/사유내용, 그 중에서도 ‘반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자리에서 쓰이는 경우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반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이 오늘날 ‘줄’의 대표적인 기능이 되었다. 이처럼 ‘줄’은 후기 중세국어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분포가 축소되고 기능이 특수화되는 과정을 겪어 왔다.

This study aimed to focus on how the functions of the bound noun ‘jul’ have specialized from the Late Middle Korean to the Modern Korean language. ‘Jul’ had four functions in Late Middle Korean: a formal filler for nouns, creating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 as a word which signifies “means” and “reason.” The most widely recognized function was the formal filler function. ‘Jul,’ which had previously served as a formal filler for nouns, experienced two changes in Early Modern Korean. First, it increasingly stopped its co-occurrence with verbs other than cognitive verbs, thought verbs, speech verbs and decoding verbs. As a result, ‘jul’ has transformed itself into an element used for noun phrases on cognition and thinking. Second, it began to be used at the 3rd argument position of cognitive verbs and thought verbs, that is the argument position marked by ‘ro’ (the content of which are not presupposed as true). And it began not to be used at the same position with the case marker ‘rul’ (the content of which are presupposed as true) in case of thought verbs. In other words, the function of ‘jul’ of signifying the cognition/thinking of “non-factual” strengthened while its function of signifying the cognition/thinking of “factual” weakened. ‘Jul,’ which signified cognition/thinking, experienced two different changes in Modern Korean. First, as ‘jul’ increasingly co-occurs with cognitive verbs, its function as “an element used for noun phrases which signifies cognition/thinking” strengthened. Second, a quantitative approach at actual usages of ‘jul’ shows that ‘jul’ is mostly used in positions with the meaning of cognition/thinking of “non-factual,” and specifically, with content that signify cognition/thinking of “counter-factual.” Through such process, signifying cognition/thinking of “counter-factual” became the representative function of ‘jul.’ ‘Jul’ has thus continued to decrease in its distribution and to have its function specialized from the Late Middle Korean to the Modern Korean.

1. 서론
2. 후기 중세국어에서 ‘줄’의 의미와 기능
3. 근대국어에서 명사 자리를 채우는 기능을 하는 ‘줄’이 겪는 변화
4. 현대국어에서 ‘인지/사유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줄’이 겪는 변화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