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6.7
3.145.166.7
close menu
KCI 등재
우역(牛疫)에 대한 지식인의 인식과 고뇌양상 -한시와 제문을 중심으로-
The Intellectuals` Recognition of and Cope with Rinderpest
황만기 ( Hwang Man-ki )
한문학논집 45권 37-58(22pages)
UCI I410-ECN-0102-2017-810-000590486

이 논문은 우역 발생시에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무엇을 고민했고 어떤 식으로 대처하였으며 어떻게 극복해갔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이전인 1636년 5월부터 우역이 시작되어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이듬해인 1637년에는 우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종자 개체수까지 사라질 정도로 그 피해 규모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농업경영에 있어서 소의 부재는 일의 능률 저하, 수확 감소 등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생활의 삶의 기반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인간생활의 질적 저하는 물론 국가적인 큰 재앙이었다. 이때 안동의 선비 愚川 鄭?은 우역의 심각성을 한시를 통해 고발하였고, 眉? 許穆 역시 제문을 통해 우역의 심각성을 드러내었다. 비록 시기는 다르지만 18세기 봉화의 선비 立齋 姜再恒과 20세기 全南 谷城 長善里 출신인 韓圭桓도 제문을 통해 우역의 피해와 지식인으로서의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본고는 牛疫을 한문학과 접목한 첫 시도였다는 점에서 나름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의학 분야와의 교신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what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ynasty were worried about when rinderpest occurred and how they coped with it. Rinderpest outbroke in May, 1636, before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and widespread in 1637 while going through the Manchu Invasion, and its damage was beyond imagination to the point that the population of the breed had disappeared. The absence of cows for agricultural management had direct impacts, such as lowered efficiency of work and decreased harvest, which led to the result that the foundation of human life was completely taken away. It was not only qualitative decline of human life, but also a national catastrophe. At that time, Woocheon Jeongchik, a classical scholar of Andong, reported the seriousness of rinderpest through traditional poems, and Misoo Heomok also revealed the magnitude of rinderpest a funeral oration. Even though the time was different, Ipjae Gangjaehang, a classical scholar of Bonghwa in the 18th century, and Hangyuhwan from Jangseonli, Gokseong, Jeollanamdo in the 20th century showed the damages by rinderpest and positiveness as an intellectual through a funeral oration. This research can be evaluat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rial to combine rinderpest with traditional poetry, and a broader communicative research is expected to be carried out later.

1. 들어가는 말
2. 牛疫발생에 따른 지식인들의 고뇌
3.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