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44.217
3.133.144.217
close menu
KCI 등재
아시아적 생산양식의 폐제와 그 함의: 『탈식민이성비판』에서 가야트리 스피박에 의한 맑스의 진화론적 모델 비판
The Foreclosure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and Its Implications: Gayatri Spivak`s Critique of Marxian Evolutionary Models in A Critique of Postcolonial Reason
유두선 ( Ryu Doo-sun )
인문논총 73권 4호 15-58(44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280172

탈식민주의 논의에서 `진화론`은 상당한 논란거리인데, `사회적 다윈주의`란 이름으로 인간사회에 적용되어 제국주의/식민주의의 정당화에 동원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가야트리 스피박이 『탈식민이성비판』의 맑스 부분에서 맑스 자신에 의한 아시아적 생산양식 개념 폐제에 대해 가한 비판을 살피면서 이 문제를 짚어본다. 이 저서의 다른 부분에서 토착정보원의 관점이 폐제되는 반면, 이 부분에서 아시아적 생산양식이란 개념의 폐제가 새롭게 부각된다는 점과 함께, 이와 연관된 맑스의 진화론적 모델 수용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이 논문은 스피박이 어떻게 이 진화론적 모델 수용을 문제 삼는지를 다룰 것이다. 이때의 가설은, 스피박이 이 폐제가 단선적인 진화론적 모델에 토대를 둔, 맑스의 “타자를 이론화하려는 욕망”의 표현으로 본다는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또한 스피박이 이 개념을 부활시켜 어떻게 전지구성을 이해하는데 활용하는지도 다루는데, 이때 스피박이 이 개념이 들뢰즈/가타리 같은 최근 철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어 단선적 진화론에 의존하지 않을 경우`단계`를 설정하는 것을 문제 삼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스피박이 어떤 방식으로 데리다의 “새로운 정치적 독서”를 받아들여 맑스의 진화론적 모델 수용을 새롭게 읽음으로써 진화론과 연관된 탈식민주의 이론의 논의를 풍요롭게 한 주목할 만한 이론가라는 주장을 펼친다.

In postcolonial discussions, the evolutionary theory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as its application to human society has been used as a justification for imperialism/colonialism. In this essay, I address this issue, drawing upon the Marx section of Gayatri Spivak`s A Critique of Postcolonial Reason, in which she critiques Marx`s foreclosure of his own concept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AMP]. Rather than focusing on the native informant`s perspective and related topics, I pay particular attention to Spivak`s new emphasis on the foreclosure of the AMP in this section and her issues with Marx`s acceptance of evolutionary model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pivak considers Marx`s foreclosure an expression of his “desire to theorize the other,” which is based on the idea of unilinear “evolutionary storyline.” I also analyze how Spivak “resurrects” the AMP “in order to understand globality” (CPR 72), without problematizing the supposition about “stages” of development as long as such development doesn`t rely on the idea of unilinearity, and with the aim of indicating how Marx`s AMP has given insights to contemporary philosophers such as Deleuze and Guattari, who connect the AMP to the contemporary globalized world. All in all, I seek to make my point that Spivak marks herself as one of the remarkable postcolonial theorists to incorporate Derridean “new politics of reading” in her new reading of Marxian evolutionary models, thus enriching postcolonial theories.

1. Marx’s Foreclosure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2. Spivak’s “New Politics of Reading”
3. Spivak’s Critique of Marx’s AMP as His Acceptance of Evolutionary Models
4. The Resurrection of the AMP “in order to understand globality”
BIBLIOGRAPH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