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00.143
18.222.200.143
close menu
KCI 등재
채만식의 『어머니』 개작에 나타난 남성주체의 (반)성장
A Study on Chae Man Sik`s Rewriting of Mother ― Centered on the (Anti)Initiation of a Male Character
유인혁 ( Yu Inhyeok )
인문논총 73권 4호 287-320(34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280238

이 글은 채만식의 『어머니』 개작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채만식의 정치적 (무)의식 및 그것이 반영된 서사적 문법을 점검했다. 특히 남성인물 준호의 성장을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어머니』 개작이 가지고 있는 서사적/역사적 함의들을 재조명했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개작이 여성수난사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파간다`로 수렴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인물의 성장서사를 내재하고 있는 반정치적 텍스트로 나아갔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지금까지 『어머니』를 모본(母本)으로 하는 두 개작, 즉 『여인전기』와 『여자의 일생』에 대한 연구는 주로 여성인물 진주의 변화를 중심에 두고 이루어졌다. 『어머니』에는 숙희의 가계가 설명되지 않았으나, 『여인전기』에서는 진주가 러일전쟁에 참가한 군인의 딸로, 『여자의 일생』에서는 `혁명가`의 딸로 설정됐는데, 이에 따라 여성인물이 정치적맥락을 획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런데 개작 양상에 따라 가장 역동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은 바로 남성인물 준호이다. 세 작품에서 진주(숙희)의 수난사는 균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준호의 경우 각 작품마다 성장서사의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각각의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역사적 입장을 변화시키고 있다. 『어머니』에서는 준호가 남성적인 성장을 통해 어머니로 상징되는 구습을 극복하고 `신학문`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암시되어 있었다. 하지만 『여인전기』에서는 이러한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으며, 『여자의 일생』에서는 가능성의 여부가 불확실하게 처리되고 말았다. 이것은 『어머니』의 개작이 모본이 가지고 있었던 정치적 맥락을 점점 탈색시키거나 거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inspects Chae Man Sik`s political (un)conscious and its way of fictionalizing Mother and its revised works The War Story of a Woman and The Life of a Woman. It focuses particularly on the male character Junho, since his role and function has been underestimated in previous studies. To date, analyses of the three texts have focused on the female character Jinju (Sukhi). The status of her family members are unrevealed in Mother. However, Jinju becomes a daughter of a military officer that participated in the Russo-Japanese war (The War Story of a Woman) and a daughter of a patriot revolutionist (The Life of a Woman). This difference is regarded as the key point of the texts. This study, however, focuses on Junho, the husband of Jinju, as the most converted character in the three novels. In the three texts, the sufferings of the women are monotonic. On the other hand, Junho`s initiative story experiences dramatic change. In Mother, the initiative narrative exists. However, it vanishes in The War Story of a Woman. Lastly, it is reintroduced in The Life of Woman. The consequence of this is a dramatic changing of plots. The important fact is that each text shows a different political context. In Mother, the text hints that Junho can become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by overcoming the old customs, as symbolized as the mother. In The War Story of a Woman, however, the chance of success vanishes. Lastly, The Life of a Woman intentionally presents an ambiguous ending.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writing of Mother was actually a process of de-politicalizing the texts, and not the other way around.

1. 채만식의 『어머니』 개작과 남성주체의 문제
2. 『어머니』에 나타난 미숙한 소년의 성장과 죽음
3. 『여인전기』와 남성 성장서사의 제거
4. 『여자의 일생』과 나약한 주체의 계승
5. (반)성장의 정치적 의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