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12.145
3.144.212.145
close menu
KCI 등재
김경탁의 중국어 한글 표기 체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f Kyung-tak Kim`s Korean Phonetic Notations for Chinese Books
서미령 ( Xu Meiling )
인문논총 73권 4호 321-361(41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280243

본 논문은 그동안 연구된 바 없는 철학자이며 한학자인 우암 김경탁의 『중국어발음해석』(1939)과 『중국어(1)』(1940)에 기록된 중국어의 한글 발음 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국어 성모의 한글 표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ㅇ+音素`의 형태 /ㅇㅈ/, /ㅇㅊ/, /ㅇㅅ/, /ㅇㄹ/를 사용하여 설첨후음 [ts], [tsh], [s], [Z]를 표기하였고, 설면음은 [t□], [t□h], [□]는 /ㅈ/,/ㅊ/, /ㅆ(ㅅ)/로, 설첨전음 [ts], [tsh], [s]는 /ㅉ/, /ㅊㅊ/, /ㅆ/로 표기하였다. 둘째, [p]는 /ㅃ(ㅂ)/로, [t]는 /ㄸ(ㄷ)/로, [k]는 /ㄲ(ㄱ)/ 등 두 세트로 표기하였다. 셋째, [f]를 /ㆄ/로 표기하였다. 넷째, [1]는 /ㄹㄹ/로 표기하였다. 중국 운모의 한글 표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i]는 /ㅣ/로, [□]는 /ㅢ/로, [□]는 /ㅡ/로 표기하였다. 둘째, [ai]는 /ㅏㅣ/로, [ei]는 /ㅔㅣ/로, [uai]는 /ㅘㅣ/로, [uei]는 /ㅞㅣ/로 표기하였다. 셋째, [au]는 /□/로, [iau]는 /□/로, [ou]는 /□/로, [iou]는 /□/로 표기하였다. 넷째, 『중국어(1)』에서는 [∂]을 / □/로 표기하고, 『중국어발음해석』에서는 /ㅓ+□/로 표기하였다. 이외에 『중국어(1)』의 한글 표기 체계와 비슷한 시기에 출간한 『지나어대해』(1938), 『중국어회화전서』(1939)의 한글 표기 체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의 고찰은 역외(域外) 한어사의 공백을 채울수 있고 또 한어 어음의 방증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으로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또 동일시기 중국에서 출판한 한어 교과서, 그리고 음성학 저서와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of transla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through two books, Zhongguoyu fayin jieshi (1939) and ZhongguoyuⅠ(1940). In these books, initial consonants were transcribed into the following elements of the Korean alphabet. ① The palatal initials were transliterated as `ㅈ, ㅊ, ㅅ(ㅆ)`, the alveolar sibilant initials were transliterated as `ㅉ, ㅊㅊ, ㅆ`, and the retroflex initials were transliterated as `□, □, □, □`. A form of `ㅇ + phoneme` was used. ② `b, d, g` etc. were transliterated in two groups. ③ `f` was transliterated as `ㆄ`. ④ `l` was transliterated as `□`. Finals were transcribed into the following elements of the Korean alphabet. ① `i` was transliterated as `ㅣ`, `-i[□]` was transliterated as `ㅢ`, and `-i[□]` was transliterated as `ㅡ`. ② `ai` was transliterated as `ㅏㅣ`, `ei` was transliterated as `ㅔㅣ`, `uai` was trans-literated as `ㅘㅣ` , `uei` was transliterated as `ㅞㅣ`. ③ `ao` was transliterated as `□`□, `iao` was trans-literated as `□`□, `ou` was transliterated as `□`□, `iou` was transliterated as `□`□. ④ `er` was trans- literated as `□` in ZhongguoyuⅠ, while it was transliterated as `ㅓ+□` in Zhongguoyu fayin jieshi.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filling in the gaps in the data concerning historical Chinese phonology. Future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on basic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t the same time as these two books.

1. 들어가기
2. 우암 김경탁과 그의 저서
3. 김경탁의 중국어 한글 표기
4. 나오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