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6.219.157
3.236.219.157
close menu
KCI 등재
아마르나 시대 예술에 투영된 시간관 ― “베를린 석비”에 묘사된 왕실 가족의 정경을 중심으로
Here-and-Now Eternalized ― Based on the “Berlin Stela of the Royal Family”
유성환 ( Yoo Sung Hwan )
인문논총 73권 4호 403-471(69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280263

신왕국 시대의 파라오 아멘호텝 4세는 즉위 후 급진적인 종교개혁을 단행하였으며 이와 같은 종교개혁은 이집트 예술을 비롯한 문화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자신이 주도한 종교개혁 과정에서 아멘호텝 4세는 이집트 다신교 체제에서 비교적 뒤늦게 등장한 아텐을 숭배하였으며 아텐은 당시 조형예술에서 사람의 손이 달린 태양광선을 방사하는 태양원반으로 표상되었다. 이후 아멘호텝 4세는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한 종교개혁을 보다 강도 높게 실현하기 위해 수도를 중부 이집트로 이전하였으며 천도 후 자신의 이름을 아켄아텐으로 바꾸었다. 재위 11년 무렵 아켄아텐은 아텐을 유일신으로 격상시키는 한편, 신왕국 시대의 국가신이었던 아문을 비롯한 다른 신들의 숭배를 금지하고 이들을 모신 신전을 폐쇄하고 신관단을 해체시켰다. 과거의 전통을 부정하는 급진적인 종교개혁의 여파로 “영원한 동일성”(Dt)과 “영원한 반복성”(nHH)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했던 기존의 시간관에도 변화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두 개의 대극되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시간 혹은 영원에 대한 개념 대신 정체(wnn)로 대변되는 “영원한 동일성”보다 변화(xpr)로 대변되는 “영원한 반복성”을 중시하는 “지금-여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이는 추상적이고 신비한 신화적우주관보다는 감각, 특히 시각에 의해 파악 가능한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한 현실을 묘사하고자 하는 예술의지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조형예술의 생산을 담당했던 장인들의 초점 역시 시간의 작용이 배제된 이상적인 모습만을 구현하고자 했던 과거의 예술양식에서 “지금-여기”에서 관찰, 확인 가능한 구체적인 대상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시간관과 우주관의 변화로 인해 아켄아텐의 종교개혁 시기, 즉 아마르나 시대의 예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첫째,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없고, 기도 등을 통해 접근할 수도 없었던 아텐 신과 당시 이집트 일반인들 사이의 유일한 매개자였던 아켄아텐과 왕비 네페르티티를 비롯한 그의 가족 ― 즉, 성가족이 조형예술의 가장 중요한 주제로 부상했다. 이는 다른 신들의 이름과 형상을 새기는 것이 금지되었던 당시 종교개혁의 여파에 따른 것이기도 하며 동시에 개인 신앙의 확산에 따라 파라오와 신관을 거치지 않고 신과의 직접 접촉을 추구했던 새로운 경향을 차단함으로써 종교에 대한 왕실 독점을 추진했던 아켄아텐의 정책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둘째, 신성한 왕권의 상징적이고 전형적인 면모는 아켄아텐과 그의 가족이 아텐의 태양광선 아래 매일 취했던 실제적인 행동, 즉 왕권의 실제성에 대한 자연스러운 묘사로 대체되었다. 셋째, 아텐에 의해 구현된 공간 속의 모든 인물과 사물을 2차원의 한계 속에서도 최대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아마르나 시대의 예술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베를린 석비”를 그 구체적인 실례로 선택한 후 이와 유사한 모티프를 가진 당대의 다른 조형예술 작품과 상호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들 석비와 분묘의 부조들은 생생한 동작의 묘사, 미세한 움직임에 대한 관심과 표현, 신성이 매순간 구현되는 “지금-현재”에 대한 집착, 가시성과 세부묘사에 대한 강조 등 아마르나 시대의 독특한 예술양식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After his ascension to the throne, Amenhotep IV embarked on a series of radical changes in art and religion. From the beginning of his reign, Amenhotep IV founded new temples to the Aten, a relatively new deity in Egyptian history, represented with the sun-disk (but, in essence, the radiant light of the sun instead of the physical disk) and built a new capital city in Middle Egypt to further the cult of the Aten. Soon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apital, he changed his name to Akhenaten and promoted the Aten as the sole deity of his religion. In the regnal year of eleven, he began to proscribe other older gods, especially the former state god Amun, throughout Egypt. Along with the dramatic departures with the past during his reig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traditionally represented with two opposing but complementary concepts of Eternal Sameness and Eternal Recurrence, also underwent revisions and modifications. As a result, (1) the emphasis was shifted from the eternity (Dt + nHH) to the concept of here-and-now with a notable preponderance of Change (xpr) and the Eternal Recurrence (nHH) over Stasis (wnn) and the Eternal Sameness (Dt); (2) the abstract mystery of mythology as an intelligible reality was superseded by the physical reality of everyday life; and (3) artists, freed from the timeless and idealized artistic style of the past,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detailing of the visual reality and the concept of here-and-now. Along with this changed temporal concept and worldview, the Amarna art demonstrates distinguished feature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imary focus on Akhenaten and his royal family that, as the Holy Family, stood between the invisible deity and their people; (2) prolific expression of immediacy and emotion to express the actuality of words and deeds of Akhenaten and his family; and (3) the three-dimensional treatment of space even on a two-dimensional surface. In order to observe the prominent features of the Amarna art, the Berlin Stela of the Royal Family is used in the paper as a primary example in addition to other closely related stelae and tomb reliefs because it employs a number of innovative artistic devices and shows the unique traits of the Amarna period, such as the lively expression of gestures, keen interest in movements, preoccupation of the present (as the time of the epiphany), and an unrelenting emphasis on visibility and frivolous details.

1. 들어가는 말
2. 역사적 배경
3. 고대 이집트인의 시간관념
4. 아마르나 예술의 특징
5. 사례연구: “베를린 석비”
6. 결론
별 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