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28.48
3.17.28.48
close menu
KCI 등재
메도루마 슌의 『눈 깊숙한 곳의 숲』론 -식민지주의적 폭력의 현재-
A Study on Medoruma Shun`s “ME NO OKU NO MORI” -the present of colonial violence-
소명선 ( So Myung-sun )
일본근대학연구 54권 141-158(1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74156

메도루마 슌의 『눈 깊숙한 곳의 숲』(2009)은 태평양전쟁 말기 오키나와본도 북부의 낙도에서 발생한 사건에 관해 사건 발생 당시와 60년 후인 현재를 횡단하며 서술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소설의 주요한 모티브가 미군에 의한 성폭행사건과 이에 대한 대항폭력이라는 점에서 전작인 「희망」과 『무지개 새』와 동일한 지평에서 논의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8명의 시점인물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사건의 진상과 사건 후의 삶을 이야기하는 독특한 서술구조와 `목소리`로 환기되는 폭력의 기억과 그 양상에 주목하여 대항폭력이라는 표층적인 의미와는 다른 관점에서의 고찰을 시도한다. 이들 시점인물에 의해 서술되는 각 시점인물이 서술하는 폭력적인 사건의 경험과 기억은 계속되는 식민지주의적 폭력에 노출된 오키나와의 현실이었다. 시점인물에게 있어 폭력의 기억이 일상 속에서 새로운 폭력으로 작동하는 양태와 그들의 언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눈 깊숙한 곳의 숲』은 이러한 비가시화된 폭력에 대항하는 방법으로서 어떠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지에 관해 고찰했다.

Medoruma Shun`s “ME NO OKU NO MORI”(2009) is the work which talk about while crossing the present 60 years later at the time of a incident about the incident that took place in a remote island in northern Okinawa Island in last years of Pacific War. The main motif of this novel is the rape by US soldiers and a combat violence against this. For this reason, there is a tendency to be discussed in the same horizon as the “KIBO” and “NIJI NO TORI” of previous work. I try the consideration at the point of view unlike the against violence.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memory of the violence roused by `voice` and narrative structure that talk about the truth of the incident and the life after the incident from a variety of angles by eight viewpoint people. At first I analyze appearance of the violence talked about by these viewpoint people and confirm reality of Okinawa exposed to violence of the colonialism to continue. Through experience and the memory of the violent incident that each viewpoint person talks about, I confirm the aspect to come as new violence and the influence that memory of the violence gives to language again. And I consider it what kind of directionality “ME NO OKU NO MORI” shows as a method against the violence that was non-visualiz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