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00.120
3.141.100.120
close menu
KCI 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규정 및 대학생의 인식 양상
The Definition of `Academic Writing`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It
이윤빈 ( Lee Yun-bin )
작문연구 31권 123-162(40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56689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황을 단계적으로 점검했다. 이를 위해 ⑴ 대학 글쓰기 관련 이론과 교재에서 `학술적 글쓰기`가 규정되는 양상을 고찰하고, ⑵ 대학 글쓰기 강좌를 이수한 필자가 `학술적 글쓰기`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론 영역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다양성을 전제한 상태에서 `공통성`의 내용을 규정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으나, 그 사례는 충분하지 않았다. 둘째, 교재 영역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정의가 부재하거나 유형 분류의 기준이 모호한 가운데, 일부 대학에서 `독창성`과 `논증`을 그 핵심 요건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대학 글쓰기 강좌를 이수한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인식을 자주 노출했다. 이들은 특히 자신을 학술적 글을 작성하는 저자성(authorship)을 가진 주체로 설정하지 못함으로써 추가적인 혼란을 양산하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향후 `학술적 글쓰기` 개념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기 위해서는 ⑴ 학술적 글쓰기의 다양성을 전제하되 이를 쓰기 주체, 쓰기 영역(담화 공동체), 쓰기 유형(장르)의 세 측면에서 논의해야 하며, ⑵ 학술적 글쓰기의 `공통성`에 대한 규정은 이를 규정하는 특정한 대학 글쓰기 교육 단위의 교육 목적 및 그것이 적용되는 `다양성`의 범위를 확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했다.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status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irst, I examined the aspect of `academic writing` in the theories and textbooks related to university writing. Second, I checked how college students have a sense of `academic writ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theoretical domain, there was an attempt to define the content of `commonality` under the presupposition of diversity of academic writing, but the case was not enough. Second, in the textbook area, the definition of academic writing was absent or the criteria of classification were ambiguous. Some universities emphasized `originality` and `argument` as core requirements. Third,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college writing courses frequently exposed confusing perceptions of the academic writing concep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defined more clearly in the future. First, the diversity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 writing subject, writing area, and writing genre. Second, regulations on commonality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made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scope of diversity established.

Ⅰ. 서론
Ⅱ.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의 규정
Ⅲ. 대학생 필자의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