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214.215
18.224.214.215
close menu
KCI 등재
국어과 교과서의 여성가사 수록 현황과 대안의 모색 ―여성주의 관점에서
The Status and Alternative Solutions of Woman`s Gasa in Korean Textbooks and Literacy Textbooks ―From a Feminist Standpoint
박유진 ( Park Yujin )
UCI I410-ECN-0102-2018-700-000257603

본고는 고등학교 국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여성가사에 주목하여수록 양상을 살펴본 후, 여성주의 관점에서 여성가사 수록의 개선점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여성가사 중 <덴동어미화전가>와 <규원가>를 중심으로 학습활동 내용의 적절성, 수록 부분의 적절성, 문학사 서술과 규방가사 설명의 적절성, 남성가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여성가사는 남성 작품의 수에 비해 수록작품의 수나 수록 횟수가 적고, 여성의 가사 창작·향유·유통의 측면이나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여성가사의 문학사적 의의를 정립하는 것이중요하며 여성가사의 대표작품 발굴과 선별, 여성어문생활을 입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꼼꼼한 문학사 기술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Woman`s Gasa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investigated the aspect of inclusion and sought the matters to improve for the inclusion of Woman`s Gasa from a feminist standpoi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Dendong-Eomi-Hwajeonga” and “Gyuwonga” of the Woman`s Gasa included in literature textbooks, centering around the appropriateness of learning activity content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arts includ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nd Gyubang Gasa and a comparison with men`s classical poetr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s compared to men`s classical poetry, there were fewer Woman`s Gasa works, which were included fewer times and did not fully reflect the aspects of writing, enjoyment and circulation or the meanings of the works in the literary history.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emphasiz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establish the meaning of Woman`s Gasa in literary history in the future,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close descriptions of literary history to discover and select representative Woman`s Gasa works and to allow a stereoscopic description of women`s linguistic life.

Ⅰ. 서론
Ⅱ. 국어과 교과서의 고전시가 수록 양상
Ⅲ. 국어과 교과서의 여성가사 수록 양상 분석
Ⅳ. 국어과 교과서의 여성가사 수록 방안 모색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