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00.136
18.118.200.136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강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Academic Listening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서영진 ( Seo Youngjin )
UCI I410-ECN-0102-2018-700-000257623

본 연구는 학습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 교육 문화적 풍토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학습 장면이자 듣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교수자 중심의 강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강의를 들을 때 듣기 전략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듣기 전략의 사용 빈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상위 인지 전략보다 인지 전략을 주로 활용하였으며 사회적 전략의 활용에는 소극적이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비판적 듣기 전략을 활용하는 데도 소극적이었다. 학생들이 즐겨 활용하는 대표적인 전략은 노트 필기하기, 보조 자료 파악하기 등이었다. 듣기 전략 사용에 대한 학년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별도의 교육적 처지가 없다면 듣기 능력의 발달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강의 듣기 경험의 횟수가 듣기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기존의 학습을 위한 듣기 연구가 외국어 기반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모국어 기반 학습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을 위한 듣기 교육을 설계하고자 할 때 필수적인 정보로서 학습자의 현재적 수준 진단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주며, 학생들의 듣기 능력이나 듣기 양상을 고려하여 강의 전략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review usage of listening strategy by college students in Korean speaking lectures. A survey was conducted to look into what kind of listening strategy is used in class where a lecturer speaks most of the tim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a frequency of listening strategies usages were normal in general. More cognitive strategies were used rather than metacognitive strategies with the least utilization of social strategies and critical listening strategies. Students mostly tend to employ note-taking strategies, making inferences from support materials and etc. There has not been much difference in the survey result from students by academic year. Having no previous education on listening, it is found that major improvement is hardly made after years in college and an increased number of listening experiences does not affect effective listening in quality. Most of previous studies on listening for learning were done in a situation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On the contr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spects of listening strategy by college students were reviewed in a learning situation with the mother language of Korean. The author hopes that, when designing listening education for learning, this study result would provide useful help in assessing necessary current levels of students. Further, teachers will be able to develop lecture strategies by taking account of listening abilities and conditions of their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