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74.227
3.17.74.227
close menu
KCI 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음악 선(先)경험과 음악교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usic Subject Self-Efficacy and Previous Experience about Music Education
윤관기 ( Gwan-ki Yun )
음악교육연구 45권 4호 115-136(22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27238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음악 선(先)경험과 음악교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이번 연구는 A, B교육대학교 9개학과 2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은 남학생(63.5%)보다 여학생(75.1%)이 음악 선경험을 더 많이 하였으며, 음악 선경험 시기는 초등학교 저학년(29.4%)때 시작하였으며, 기간은 4-6년(29.4%), 그리고 초등예비교사들은 피아노학원(61.9%)을 통해 음악 선경험을 가장 많이 하였다. 둘째, 음악 선경험의 영향은 대체로 음악선호도, 악기연주실력이 향상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으며, 현장음악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146명(77.3%)의 학생들이 응답하였다. 셋째, 독립 t검증 결과 통계량의 t값은 3.08, 유의확률은 .002로 p<.05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음악 선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음악교과 자기효능감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음악 선경험과 음악교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가 .360이고 p<0.1이므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usic subject self-efficacy and previous experience about music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emale`s score(75.1%) of previous experience music education are more high than male students(63.5%). When they start previous experience about music education, they were low elementary student(29.4%), and duration 4-6years(29.4%), an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the most experienced through the piano institution(61.9%). An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usic subject self-efficacy scores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previous music education(M = 78.02, SD = 8.06) and who do not have experience previous music education, M = 73.61, SD = 9.63; t (229) = 3.08, p = .02.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usic subject self-efficacy and previous experience about music education was investigated using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was a medium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r = .36, n =189, p < .0005.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