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21.55
18.216.121.55
close menu
KCI 등재
개화기 일본인의 한국어 연구 -고교(高橋) 형(亨)저 『한어문전(韓語文典)』의 문법 사항을 중심으로-
Study on Korean Language during the Japanese people in Enlightenment Period -Focusing on the grammar of the 『韓語文典』 written by 高橋 亨-
윤영민 ( Yun Young-min )
반교어문연구 44권 59-82(2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51240

이 글은 한국어 문법 체계의 확립 과정에 나타난 외부 언어와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려는 연구의 하나로 1909년 『大韓文典』과 같은 해에 간행된 高橋 亨의 『韓語文典』을 통하여 일본인에 의해 기술된 한국어 문법의 체계와 품사의 문제 및 그 특징에 대하여 관찰한 것이다. 『韓語文典』은 『韓語通』, 『文法註釋韓語硏究法』과 함께 1909년 일본인이 간행한 한국어 학습서 가운데 하나로 한국어 품사를 10품사로 나누었으며, 각개별 품사의 구성은 名詞, 代名詞, 數詞, 形容詞, 動詞, 助動詞, 副詞, 接續詞, 感歎詞, 助詞와 같이 數詞를 독립된 품사로 취급하였으며, 大槻文彦에 의해 일반화되어있던 `天爾遠波`에 대하여 `助詞`라는 용어를 구현하고 있다. 이는 같은 해에 간행된 『韓語通』이 `?爾乎波`로 표현함으로써 大槻文彦의 절충문법 용어를 채택한 것과 『文法註釋韓語硏究法』이 `助動詞`를 인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助辭`와 같이 `辭`로 구현한 것과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韓語文典』은 한국어 문법 항목을 `時`, `法`, `相`의 세 가지로 나누어 각각`시제`와 `서법`, `태`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며, 문법 개념과 품사 체계 등의 설정에서 일본 학교문법을 포함한 당시의 주요 일본어 문법관과 입장들이 적지 않게 차용 또는 원용된 양상을 보인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韓語文典』에서 다룬 한국어의 문법 항목과 품사 분류 체계 및 체언과 용언을 중심으로 품사별기술 사항을 관찰하고 여기에 나타난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인의 관점에서 다루어진 초기 한국어 문법의 모습을 조명해 보았다.

This research is a part of investigation on the various sides of Korean grammar organized by Japanese people, which investigated the probl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mmar system and part of speech in 高橋 亨 (Takahashi Toru) `s 『韓語文典 (Haneomunjeon)』. This research divided Korean part of speech in 10 units, as one par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d by Japanese people in 1909, along with 『韓語通 (Haneotong)』, 『文法註釋韓語硏究法 (Munbeobjuseokhaneoyeongubeob)』, and the individual part of speech is composed of noun (名詞), pronoun (代名詞), numeral (數詞), adjective (形容詞), verb (動詞), auxiliary verb (助動詞), adverb (副詞), conjunction (接續詞), interjection (感歎詞), postposition (助詞), accordingly, numeral(數詞) was treated as an individual part of speech, `postposition (助詞)` was realized regarding `天爾遠波 (Tenihoha)`, that had been generalized in 大槻文彦 (Otsuki Fumihiko). This shows the difference from the appearance with `Sa (辭)` as `Joji(助辭)`, nevertheless『韓語通』,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year, cited the term of compromising grammar of 大 槻文彦 through the expression of `?爾乎波`, and the point that 『文法註釋韓語硏究法』 acknowledged `auxiliary verb (助動詞)`. On the other hand, 『韓語文典』 treated Korean grammar item in respect of `tense`, `mood`, and `form` by dividing into `Toki(時)`, `Ho(法)`, `So(相)`, also, showed the aspects of borrowing and citation in quite a few cases in respect of major Japanese grammar view and positions of that period including Japanese school grammar in view of grammar concept and part of speech system, etc. Here, this research observed the descriptive content and characterist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grammar item of 『韓語文典』 and descriptive item per each part of speech, part of speech classification and the system, and investigated in which aspect Japanese grammar appeared.

1. 서론
2. 선행연구
3. 『韓語文典』의 한국어 문법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