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203.172
18.217.203.172
close menu
KCI 등재
『시경언해(詩經諺解)』에 제시된 독음과 『경전석문(經傳釋文)』 음절(音切)의 비교연구 -유추음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pronunciation of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Classic of Odes and Jingdian Shiwen`s direct sounds and Fanqie - with analogical pronunciation
한경호 ( Han Kyung-ho )
반교어문연구 44권 153-180(2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51275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本稿에서는 『詩經諺解』 중 나타난 대량의 중세한국한자음 중 類推音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河野六郎(1968) 및 伊藤智ゆき(2002)가 논한 중세한국한자음의 유추음과 전염(Contagion) 현상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河野六郎(1968)의 방법과는 다르게, 本稿에서는 나고야 대학 所藏의 19세기 전후 판본을 참고로 하지 않았으며, 原本시기와 가까운 1613년의 판본을 기준으로 자료를 정리하였고, 더불어 이를 『經典釋文』의 音切과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에서, 本稿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발견을 하였다: 우선, 『廣韻』 중에는 해당 자에 한국한자음과 대응되는 反切이 있기는 하였으되, 다음과 같은 실제적으로는 맞지 않는 대응도 발견하였다: `?` *kopsa > kwαj 의 異文일 뿐인 `會`를 `회`로 기록하였으며, djwi이라는 음절에 대응되는 `?`의 독음을 `□`로 적었고, `우는 소리`란 의미일 대의 `?`은 독음이 hwæŋ임에도, `황`에 대응시켜, 실질적으로는 類推音인 대응현상을 보였다. 그리고, 本稿에서는 한국어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어에도 생겨날수 있는 유추음을 발견하였는데, 이들은 한국한자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가령: `昭昭`의 `昭`는 *tewb > `t?jεw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照` *tewsb > t?jεw의 通假일 따름이다. 그러나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이때의 `昭`를 平聲으로 읽어 대응시키고 있다; `祉` *thri??b > `th??에 대해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聲符인 `止` *ti??b > `t???에 근거하여, `止`와 완전한 동음으로 읽는다. 마지막으로, 本稿에서는 河野六郎(1968)의 선행연구에 오류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가령: 河野六郎(1968)에서 제시한 “?”의 聲母는 羽母(本稿의“于母”)h?-로 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j?p 에 대응된다는 점; djwi `로 읽어야 하는 `?`를 隊韻 -woj `으로 대응시킨 것 등이다.

In summary, this study shows analogies from the large amount of Middle Korean Sino-Korean readings in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Classic of Odes (詩經諺解)”. These analogies coincides with analogies and contagions of Middle Korean Sino-Korean readings discussed in Kono (1968) and Ito (2002). In contrary to Kono (1968), this study used the 1613 version instead the version from Nagoya University (ca. 19th century), as it is closer to the date of original publication;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readings with the fanqie of “Jingdian Shiwen (經典釋文)”. This new approach reveals the following. First, many of the readings have corresponding fanqie in 『廣韻』, but some irregularities are found: “會” which is actually a variant of “?” * , is misunderstood as “회”; “?” * is erroneously read as “”; “?”, which should be read as * when it refers to the `sound of crying/weeping`, is read as “”; these examples may all be considered as analogy. Second, this study found cases of analogies occuring in Middle Chinese (thus possibly affecting Sino-Korean readings): “昭” of “昭昭” shall be considered as a variant (通假) of “照” *tewsb > (not the usual *tewb > ), but both Middle Chinese and Sino-Korean misreads it as Level tone (平聲); “祉” shall be * > in Middle Chinese, but both Middle Chinese and Sino-Korean reanalyze the letter as the same of “止” * > which is the phonetic component. Finally, I also found some errors from Kono (1968). Examples: Kono (1968) refers the initial of “?” as “羽母” [sic] (corresponds to “于母”), but it`s actually “以母” j; “?” i is erroneously referred as “隊韻” -woj.

1. 序文
2. 硏究方式
3. 本文
4. 結論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