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11.66
18.191.211.66
close menu
KCI 등재
지배와 언어:식민지 검열의 케이스
Domination and Language -Case of the Colonial Censorship By Japanese Imperialism-
이혜령 ( Lee Hye-ryoung )
반교어문연구 44권 253-283(3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51306

이 글은 어느 정도 연구 성과가 집적된 식민지 검열 연구를 지배와 언어라는 문제틀에서 검토하여 제국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 사회의 형상을 부감하려는 시도이다. 제국의 검열은 `언어`와 `문자`로 사람의 아이덴티티를 대신 기술하고자 했던 지배의 실천이었다. 검열은 그녀/그 또한 말하는 사람인 피식민지인을 언어과 관련하여 어떤 존재로 특정할 것인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어떻게 지배의 도구로 전유할 것인가에 대한 식민주의적 관념 속에서 운용되었다. 검열은 궁극적으로 피식민자의 (집합적) 신체를 겨냥했다. 이는 식민지 검열, 그리고 사상통제가 식민지인들의 언어의 독자적 영역을 인정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뱉어진 말과 쓰인 글을 그 입과 손을 가진 인신(人身)에 종속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잠재적으로 피식민자의 텍스트를 식민지 지배에 반하는 `불온`한 사태를 야기할 수도 있는 것으로 간주한 제국 일본은 그 불온성을 감지하여 공격당하는 제국을 상상하는 데서 쾌감을 느끼고, 그것을 피식민자의 텍스트와 피식민자에게 가하는 형벌로 되갚아주는 메커니즘에서, 제국 일본은 사도-매저키즘적인 독자의 형상을 띠었다. 더욱이 검열은 피식민자가 되어보는 일종의 흉내내기의 과정이었으며 이러한 특징은 피식민자의 귀를 가져야 했던 레코드 검열에서는 한층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른 한편, 검열에 대해 무엇보다 문인들이 민감하게 반응한 것은 문학은 근대 미디어에 있어서 소유권, 즉 저작권 의식이 가장 일찍 확립된 매체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검열에 의해 저작권이 침해당하거나 빼앗기는 순간 자신의 말이 자신이 아닌 종족이나 집단에 속한 것임을 깨달아야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검열은 근대적 개인을 기초로 한 저작권의 성립이 현전되는 순간 그 저작권은 개인에게 있지 않으며 피식민 종족이나 특정 집단의 것임이 선고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studies on the colonial censorship by Japan in terms of domination and language. Censorship of Japanese Empire is a practice of government based on language and letter. Censorship is about how to describe the colonized as also human being speaking and how to use his/her using languages as means of governing, and is targeted ultimately at (collective) bodies of the colonized. This meant that censorship and thought control did not acknowledge the independent area of language used by the colonized, and belonged words vomited and writings written by them to their own bodies. Japanese Empire is seen as a sado-masochist reader who gained pleasure through imagining Empire attacked by the colonized in the publications and counterattacking the colonized and their texts with punishments by censorship. Moreover, censorship is concluded of course becoming or mimicking the colonized, in special, in record censorship needed to hear like hearing with ears of the colonized. The colonized literary writers were sensitive on the censorship because that writers of modern literature had an idea of authorship as ownership of the publication before anyone else in capitalist society. However, censorship is the process of making her/him as an individual of the subject of the modern authorship return to her/his ethnic group or nation.

1. 백일하의 반대자들, 복면의 필자들
2. 첫 번째 형상 :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의 소유자, 식민지 원주민
3. 두 번째 형상 : “책을 읽는 제국”
4. 세 번째 형상 : 식민지 작가들
5. 1945년 8월 15일 이후, 사상지리(ideological geography)를 넘어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