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3.89
3.135.183.89
close menu
KCI 등재
정책 수급자의 수급기간과 탈출에 대한 연구 - 기초연금 정책 대상 가구의 생애경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Spell and Exit of Policy Recipients: In Case of Basic Pension Policy Recipients’ Life Course
박정수 ( Jung-su Park )
UCI I410-ECN-0102-2018-300-000515142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09-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노령층을 대상으로 지급된 기초연금의 수급 결정요인과 수급 탈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초연금 정책의 선별적, 보편적 성격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가구의 생애주기 이론과 관련 가설에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수급 자격 산정을 위한 소득인정액, 자산인정액을 각 연도별 정책기준에 따라 계산한 값을 변수로 고려, 별도로 개인의 복지 의존을 설명해주는 요인, 가구원 및 가구원 변동 변수 등을 정책 수급기간을 설명해주는 변수로 사용했다. 그리고 패널 데이터에서 연도와 수급기간을 집단변수로 고려한 다수준 로짓 분석을 분석 방법론으로 사용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로 소득인정액과 자산 인정액이 많고 혼인을 한 대도시 거주 가구의 수급 가능성이 낮았다. 둘째, 이미 수급을 하고 있는 가구 중 3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의 경우는 다른 하위 표본과 다르게 기초생활수급 여부가 유의미하게 수급 확률과 관계가 있었다. 수급 탈출의 경우, 가구 내 65세 이상 노인의 수, 아동 수 등 가구원 관련 변수들이 통계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본 연구의 가설과 연관시킨다면, 단순 수급 자체는 수급 가구원 개인 즉 노령자의 특성과 관련이 있지만, 탈출 관련해서는 가구원 영향 요인이 크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즉 가구 생애경로 이론과 기초연금 수급 즉 노령 빈곤 사이의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가구에 이론적 바탕을 두고 분석하는 것으로 보완적 설명이 가능하며, 수급기준 영역이 상당부분 겹치지만 수급 기준자가 다른 기초생활보장 보장제도, 그리고 노령층이 잠재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타 가족 정책과의 연계 등이 향후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spell of Basic Pension Recipients and the causes, using Korean Welfare Panel Data. Both causes of recipients, the poverty of elderly are reviewed theoretically in life course perspective. This policy’s characteristics, bitg universality and selectivity, are also considered. The unit of analysis is households, which include more than 1 elderly person over age 65, and main variables are their entry and exit of policy benefit, and the duration. Analytic method is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Research finding is: the variables which represents of the elderly person in the households provide a limited explanation for households’ welfare durations. But the variables which represents for other members of households can provide the explanation for the entry and exit of the welfare duration. Especially, the number of childhood in the househol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e co-reside person who has childhood and therefore have the will to work can explain the elderly poverty. And also, the co-reside person’s basic livelihood benefit can provide the explanation of elderly poverty’s welfare spell.

Ⅰ. 서론
Ⅱ. 이론과 선행 연구
Ⅲ. 분석틀과 방법론
Ⅳ.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