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110.169
3.131.110.169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성 - 사회형평적 채용 결정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ublic Enterprises and Social Equality Employment in Korea
손선화 ( Sun Hwa Son ) , 장용석 ( Yong Suk Jang )
UCI I410-ECN-0102-2018-300-000515197

본 연구는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제도인 사회형평적 채용 실적이 기관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 여성, 고졸 등 취약계층의 고용에 대한 정부기관의 책임이 강화되면서 정부 주도의 정책적?제도적 노력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지만, 공공기관의 사회형평적 채용 성과는 조직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기업의 여성, 장애인, 고졸인력 채용 결정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전체 공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가 경영평가의 정책적 수단을 통해 채용확대를 유도한 시점 이후에 사회형평적 채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외부 감사기관들의 지적 사항에 민감한 공기업일수록 채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유사한 제도적 환경의 영향 하에 있는 조직장(organizational field)의 압력을 강하게 인식하는 공기업일수록 사회형평적 채용이 확대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국제규범에 자발적으로 순응하며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할수록 사회형평적 채용도 늘어났다. 또한 정책적 채용 목표치와 실제 채용률의 차이를 비교한 분석을 통해 규범적 환경의 압력이 공공기관의 사회형평채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공기업의 효과적인 사회적 채용 확대를 위해서는 조직 특성을 고려한 정부의 채용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y the performance of social employment differs among public enterpris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employment of women, the disabled and high school graduates. Drawing upo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we explore how different aspects such as political factors, influence of organizational field and CSR activities affect the level of public enterprises’ social employment. The results of the panel analyses of Korean public enterprises from 2008 to 2013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mployment has increased in almost all public enterprises to secure political support and social legitimacy since 2011 when social contribution as a new criterion was added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of public enterprises. In addition, if the public enterprise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riticism of external auditors and stakeholders, they were more likely to hire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Second, the public enterprises that strongly perceived the pressure of their organizational field and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environments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social equity employment. Third, voluntarily adapting to the international norms and carrying out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they have increased social equity employme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quity employment of public enterprises, and call for further attention on this topic by both academics and practition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가설
Ⅳ. 연구 설계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