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8.215
3.137.218.215
close menu
KCI 등재
국내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충격의 효과
The Effects of an Increase in the Federal Funds Rate on the Exports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차경수 ( Kyungsoo Cha ) , 김영신 ( Youngshin Kim )
국제경제연구 22권 4호 87-120(34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03771

본 연구는 27개 제조업 산업의 수출에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효과를 SVAR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수출수요를 감소시키는 소득효과와 수출가격을 하락시키는 가격효과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가정한 후, 부호제약을 통해 이 두 효과를 유발하는 구조적 충격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충격에 따른 영향은 산업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재산업 및 기초소재산업에 속하는 산업들은 주로 가격효과에 의해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립가공산업에 속하는 산업들은 소득효과가 가격효과를 압도하여 수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별 수출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소득효과는 가격효과에 비해 단기적 성격을 가지나, 영향력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주요 제조업 산업의 수출에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충격의 효과는 산업별로 상이하게 나타나, 국내 총수출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increase in the federal funds rate o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a SVAR model. In order for us to do this, we build the dataset that has the exports of 27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SITC for the period of 1991 through 2015.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the federal funds rate varies with export features of Korea. Our finding is that the exports of consumer products continuously decreased during the period while both exports of parts material and assembly-processing products persistently increased. More specifically, major export products such as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parts of the motor vehicles, and sound recording apparatus are expected to be decreased due to the wealth effect of the increase of the federal funds rate, while organic/inorganic chemicals, iron and steel, petroleum products are anticipated to be increased by the price effect. The result of cumulative impulse response functions also shows that the wealth effect usually happens one year later whereas the price effect overwhelming the wealth effect occurs with time lags.

Ⅰ. 서 론
Ⅱ. 국내 제조업의 수출구조 및 실질실효환율
Ⅲ. SVAR 모형과 부호제약
Ⅳ. 추정결과
Ⅴ. 결 론
參 考 文 獻
<Appendix>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