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114.125
18.227.114.125
close menu
KCI 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리질리언스(Resilience)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Resilienc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권예진 ( Kwon Ye Jin ) , 차명호 ( Cha Myeong Ho )
상담학연구 17권 6호 105-121(17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0420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리질리언스(Resilience)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질리언스와 관련된 국내 연구에서 1996년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들 중 809편 논문의 키워드 3,326개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Excel 2010과 NetMiner4.0으로 분석하였고, 전체키워드 및 학술지 분야별 변화와 시기별로 키워드간의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리질리언스의 지식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탄력성`, `사회적 지지`, `적응유연성` 등이 연구의 핵심주제임을 파악할 수 있었고, 학술지별 분석을 통해 사회과학, 자연과학, 의약학, 예술체육 분야에서 리질리언스 연구의 경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1기에는 `청소년`, `학교생활적응`이, 2기에는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보호요인`이, 3기에는 `탄력성`,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서 높게 나오는 등 상위권 주제들이 패러다임을 통해 변화하고 있고, 리질리언스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비교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리질리언스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current research trends of resilience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resilience. In order to address these purposes, 3,326 key words in 809 articles of domest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1996 and 2015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Excel 2010 and NetMiner4.0, and in-depth analysis were don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ademic journals and the total keywords by area and period. As a result,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ilience were found out by the total keywords network analysi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resilience` were core subjects of the studies, and the study tendency of resilience was varied from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medicine and pharmacy to art-physical education fields. Also, the keyword analysis by periods revealed that `Adolescent` and `School adjustment` were found to be high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in period 1,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rotective factor` in period 2 and `Resilience,`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period 3. It meant the salient research topic on resilience has been changed by paradig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n resilienc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opics based on the empirical data analysis.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