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101.60
3.23.101.60
close menu
KCI 등재
진로성숙도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메타연구
A Meta-Research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김연주 ( Kim Yeon Joo ) , 김진숙 ( Kim Jin Sook )
상담학연구 17권 6호 267-288(22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0428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진로상담 연구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측정도구인 진로성숙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년간 진로성숙도를 측정한 299편의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메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바탕으로 신뢰도를 보고한 논문은 250편(83.6%)이며 전체 신뢰도 값과 종류를 모두 명시한 논문은 179편(59.9%)이다. 179편의 논문에서 보고된 186개의 신뢰도 값의 평균은 .851이다. 발간연도, 학술지 분야, 표본수, 연구대상은 신뢰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측정도구의 종류, 측정항목수, 척도유형, 측정도구의 사용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성숙도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점검한 논문은 58편(19.4%)이며 타당도 검증에는 구인타당도를, 구인타당도 검증 방법은 요인분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타당도 분석 결과 도출된 평균 요인수는 4.54개이며, 평균 설명량은 62.46%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성숙도 측정도구 사용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areer maturity inventories, the most widely used measurement tools in the career counseling and research field. For this purpose, 299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10 to 2015 in Korea were meta-research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250 articles (83.6%) reported the reliability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the study, and 179 articles (59.9%) reported both the type of the calculated reliability and the reliability value of the total scale. The average of 186 reliability values reported in 179 articles was 0.851. The publication year, academic fields of journals, sample sizes and target populations of study did not affect the reliability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hile the type of the inventory, the number of items, the type of scale, and inventory usage method did affect the reliability; 2) with regard to the validity of the inventories, only 58 articles (19.4%) reported the validity of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used in the studies. Construct validity was most commonly used, and factor analysis was most frequently utilized as a verification method of the construct validity. The average number of factors derived from the validity test was 4.54, and the average variance is 62.46%.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using career maturity inventories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