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53.161
3.144.253.161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사회불안 및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가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Anxiety and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on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조새롬 ( Jo Sae Rom ) , 손은정 ( Sohn Eun Jung )
상담학연구 17권 6호 313-331(19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0430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통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 역할을 살펴보았다. 경상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 온라인 사회적지지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SPS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와 SPSS Macro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는 사회불안과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 사이를 매개하였다. 둘째,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불안과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관계를 조절하였지만,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불안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매개로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불안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통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킴을 알 수 있으며, 온라인 사회적 지지와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 역할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 사회불안과 대인 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대해 재검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가 어떠한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anxiety,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A total of 419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419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do responded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On-Offline Self-discrepancy Scal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Scale, Offline Social Support Scal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to verify correlation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on-offline self-discrepancy. Second, online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offline social support did not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ird, online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on-offline self-discrepancy. These results showed that online social support strengthened the mediation effect that social anxiety influences on-offline self-discrepancy through a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ole of moderated mediation between online social support and offline social support. The role of offline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should be reexamined in further study, and it needs to be studied further that on-offline self-discrepancy influence what kinds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