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149.242
18.224.149.242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ping of Job Stress Experienced by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원복연 ( Won Bog Yeon ) , 송재홍 ( Song Jae Hong )
상담학연구 17권 6호 437-452(16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0436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교직 생활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내용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초등학교 초임교사 1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교직 생활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내용들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교직 경력 10년 이상인 초등학교 교사 4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49개의 핵심 문장으로 분류한 결과를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 경험을 관계의 대상적 차원(학생-교사-학부모)과 직무의 구조적 차원(직무의 구조화-직무의 비구조화)의 두 가지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생활지도 및 학급 관리, 업무 및 학교 풍토, 교사·학부모 관계 그리고 교수학습이라는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각의 군집 내 핵심 문장들에 대해 중요도와 효능감을 평정한 결과, 중요도에서는 생활지도 및 학급 관리, 교수학습, 업무 및 학교 풍토 그리고 관계 순으로 성공적인 교직 생활을 위해서 중요한 것으로 지각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효능감에서는 교수학습, 생활지도 및 학급 관리 순으로 스스로 해결 가능하다고 높게 지각한 반면, 교사·학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제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concept mapping on the job stress experience perceived by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examining the stress they experience in the teaching profession. Eighteen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produced ideas of job stress they experience in the teaching profession. The 49 key sentences classified by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over ten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were concept-mapped by performing multidimensional scaling(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the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perceive their stress based on two dimensions: the dimens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student-teacher, teacher-teacher, and parent-teacher); and the dimension of responsibility structure (structured responsibilities and unstructured responsibilities). The stres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duty and school culture, parent-teacher relationship, and teaching and learning. When the key sentences in each cluster were evaluated for importance and efficacy, it was found that for successful teaching importance was perceived in the order of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duty and school culture, and relationship. While the high efficacy was perceived in the order of teaching and learning,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relatively low efficacy was perceived in parent-teacher interac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s for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