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3.173
18.221.13.173
close menu
직업의 자유와 과잉금지의 원칙 - 헌재 2016. 7. 28. 2013헌바389 결정 -
Freedom of Occupation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임지봉 ( Lim Jibong )
법조협회 2016.12
최신판례분석 65권 9호 367-401(35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255910

헌법 제15조에 근거한 직업의 자유는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자유로이 선택하고 이 영위하며, 언제든지 전환할 수 있는 자유”로 정의된다. 이러한 직업의 자유의 내용 은 크게 직업결정의 자유와 직업수행의 자유 두 가지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첫째, 직업결정의 자유는 대상결정에서 `좁은 의미의 직업선택의 자유`로 표현되고 직업수행의 자유는 대상결정에서도 `직업수행의 자유`로 헌법재판소에 의해 표현되고 있다. 이 대상결정과 같은 날인 2016년 7월 28일에 헌법재판소는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조항에 관한 3개의 위헌결정과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3 제1항에 대한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들에서 좁은 의미의 직업선택의 자유를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게 과잉 제한하여 위헌이라는 공통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사건 결정들에 대한 분석 과 비교를 통해 우리 헌법재판소 결정문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리 헌법재판소는 직업의 자유 제한에 관한 독일 연방헌법재 판소의 약국판결에서 제시된 삼단계이론을 일부 적용해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 헌법재판소가 단계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단계이론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거나 혹은 정확한 논증을 하지 못하고 일반적인 과잉금지원칙의 적용으로 나아가는 결함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른 기본권 제한 법률의 위헌심사에 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직업의 자유 제한 법률의 위헌심사에서도 과잉금지원칙의 적용이 남발되는 경향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직업의 자유 제한 법률의 합헌성 심사와 관련된 우리 헌법재판소의 판단 기준이 일반적인 과잉금지원칙의 적용에서 벗어나 좀 더 구체화되고 세련되게 다듬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Freedom of Occupation which is based on Article 15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is defined as “the freedom to choose one`s occupation at one`s own will and to manage it.” The Freedom of Occupation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wo types; Freedom to Choose one`s Occupation and the Freedom to Manage one`s Occupation. On the 28th of July in 2016,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uncon stitutional similar legal provisions in the Act of Juvenile Sex Protection and Disabled Person Welfare Act on the ground that the legal provisions infringed upon the freedom of occupation in contravention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is paper aims at the critical analyse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in its rationale. Through the analyses, this paper revealed that, although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partially adopted the three-step theory in restricting the Freedom of Occupation which was developed by German Constitutional Court, the Court could not fully applied the three-step theory and escaped hurriedl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ecause it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three-step theory. In addition,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overused by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Acts restricting the Freedoms including the Freedom of Occup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