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112.69
52.15.112.69
close menu
KCI 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미래 성인기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 연구과제 고찰
A Discussion of Special Education Research Task on the School Ag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Independent Living in Future Adulthood
김영준 ( Kim Young Jun ) , 도명애 ( Do Myung Ae )
UCI I410-ECN-0102-2018-300-000171808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이 학교를 졸업하고 실제 성인기로 진입하여 성공적인 자립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에서 중요하게 부각되어야 할 연구과제를 고찰하는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환교육과 평생교육의 두 가지 관점에서 발달장애 학생의 미래 성인기 자립생활에 초점을 두어 교육적 적용방안을 모색한 국내외 선행 연구문헌 들을 다양한 유형들(저서, 연구 보고서, 실험연구, 조사연구 등)로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이 각각 제시하는 교육적 적용방안들을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과제에 대한 분석변인으로써 반영하였으며, 각 자료들을 통해 추출된 분석변인을 귀납적 분석방식에 의해 범주화함으로써 총 8가지의 영역들(학령기 특수교육과 성인기 재활복지의 불일치, 자립기술의 지표화, 자립생활 스타일 및 성취기준 표준화, 자립기술 습득을 위한 학습 스타일 사정, 교과교육,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 IEP 및 ITP 연계교육, 그룹홈의 정착화)이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된 8가지의 영역들을 분석변인으로 하면서 일반적인 문헌고찰 방식을 사용했으며, 각 영역들마다 해당 선행 연구문헌에서 제시하는 관점을 근거 내용으로 연계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전개 방향을 보다 다양하고 발전적으로 고찰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8가지의 영역들을 연구 결과에서 고찰함에 있어 상호 통합적이고 연계적인 관점을 유지하였으며, 연구 방법의 자료 선정 및 기준과 일관적으로 전환교육과 평생교육의 관점을 동등하게 다루어 역시 고찰하였다. 또한, 고찰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발달장애학생과 성인의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실행 모델의 구축을 전망하는 연구방향과 함께, 연구 결과에서 고찰한 8가지 영역의 연구 과제들이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 분야에서 갖는 위상과 필요성의 근거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research task to be emphasiz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cusing on the school ag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o they can successfully maintain independent living once they enter into adulthood after graduation. For such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ndependent adulthood liv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from two perspectives of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collecting different types of existing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books, research reports, experimental studies and survey researches) to seek for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suggested by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used as factors of analysis on the research task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and a total of 8 domains (discordance between special education during school age and rehabilitation welfare in adulthood, indexing of independence skills, standardization of independent living style and achievement criteria, learning style for acquisition of independent skills, subject matter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education connected with IEP and ITP, and settlement of group home) were defined by categorizing the factors of analysis extracted from materials using inductive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the 8 domains were used as factors of analysis for general literature review, and more diverse and developmental discuss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each domain proposed in the corresponding literature source. In addition, a comprehensive and connective perspective was maintained while discussing the 8 domains in the study results.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were equally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material selection and criteria described in the study method. Also, while providing the directivity of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an implementation model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ulthood based on the study results, discussion and suggestion were made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8 domains presented in the study results and the grounds for their status and necessit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cused on school ag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