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42.168
3.147.42.168
close menu
KCI 등재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Modification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Kindergarten
이선희 ( Lee Sun Hee ) , 김건희 ( Kim Keon Hee )
UCI I410-ECN-0102-2018-300-00016575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통학학급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 관련 교수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와 K 교육청에 소속되어 있는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이 6~10년인 경우, 특수 교육관련 연수를 받은 경우, 담당하는 장애유아의 장애정도가 경도인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교사 효능감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이 6~10년일 경우, 근무기관 유형이 공립일 경우,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이 있는 경우, 유아특수교사와의 협의가 있는 경우의 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교수적 수정 정도를 보였다. 셋째,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는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교수적 수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애유아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이들에게 높은 교육적 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교수적 수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교수적 수정의 정도는 교육기관의 유형, 특수교육관련 연수, 유아특수교사와의 빈번한 협력과도 관련이 있었고, 교사의 효능감과도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정도를 높혀서 장애유아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이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통합교육지원을 증대하고, 유아특수교사와의 빈번한 협력을 구축하며, 교사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변인인 특수교육관련 연수 기회, 통합학급담당경력,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 기회를 높여 교수적 수정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modific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parameters of the teacher and to provide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ctivities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 as well as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has conducted survey on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kindergarten registered in education office in-local at D and 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 efficacy w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 among teachers in a light degree of disability shown in the obstacle infants in case of work experience of between 6 and 10 years, less than 2 years of work experience in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 and training for the special education. Secondly, as for the degree of modification for instruction, it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on the collabor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nd also at the public school, and an experience of training for the special education. Third, instructional modification and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 at kindergarten were turned out to be highly rel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 specific plan is required to improve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 at kindergarten since an teacher with high teacher efficacy was turned out to be more involved in instructional modification. This study conveys an implication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also to expand an opportunity of it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