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44.69
18.118.144.69
close menu
KCI 등재
「붉은 방」에 드러난 국가폭력 양상 고찰
Fragmentary thoughts on state violence shown in the novel < The Red Room >
전수평 ( Jeon Su-pyeoung )
배달말 59권 192-217(2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244891

이 논문은 임철우의 중편 소설 「붉은 방」을 통해 국가폭력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썼다. 피해자는 있으나 가해자가 없는 국가폭력의 문제는 여전히 `지금, 여기`에서 중요한 문제인데 필자가 규명하고자 하는 문제를 해결할 구체적 방법으로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붉은 방」은 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홀수장은 피해자인 오기섭의, 짝수 장은 가해자인 최달식의 서술이 교차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필자는 오기섭을 통해서 국가폭력의 가시성과 비가시성 및 일상성에 대해서, 최달식을 통해서는 역사적 사건의 경험이 폭력을 정당화 하는 과정에 대해서, 최달식과 수사관들을 통해서는 극단적 악과 악의 평범성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최달식은 한국전쟁 중 가족들이 빨갱이들에 의해 학살당한다. 이 끔찍한 경험이 아버지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최달식에게 하나의 극단적인 믿음으로 내면화되는 과정과 그 믿음으로 인해 최달식이 정당하게 그리고 당당하게 폭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임철우는 소설로 형상화 하고 있다. 게다가 최달식의 의식은 기독교의 교리와 결부되면서 소명 의식으로 변화되면서 절대화된다. 최달식이나 수사관들의 모습은 평범하다. 가족 건강이나 아이들 학비 문제, 자신들의 노후 문제 등은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하는 평범한 고민들이다. 이러한 평범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국가 권력의 작동기제 속에서 극단적인 악을 행하게 된다. 하지만 그 극단적 악이 기계화 과정을 거쳐 무감각하고, 무사유적으로 행해지게 되고 그 행위가 반복됨으로써 진부성과 상투성으로 둘러싸인 평범함만이 남게 되는 것이다. 오기섭은 국가 권력에 의해 가시적인 폭력과 비가시적인 폭력을 동시에 경험하게 된다. 가시적인 국가폭력의 결과는 일단 피해자가 육체적·심리적으로 고통을 당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통과 다른 차원의 고통이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사회심리적 고통이 있다. 국가폭력으로부터 피해자가 받는 사회심리적 고통은 이중적이다. 왜냐하면 국가폭력은 불법 감금, 고문이나 학살 등의 행위를 정당화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국가는 이들을 피해자가 아닌 불순세력으로서 국가의 이념에 대항하고 지배질서에 도전한 세력으로 바꾸어 버린다. 그래서 국가가 이들에게 행하는 폭력을 일반적으로 당연시 여기게 만든다. 또한 국가의 불법적 행위가 합법화되면 피해자를 향한 공동체 및 타자의 시선은 곧 피해자가 오히려 국가에 뭔가 잘못했기 때문에 폭력을 당했을 거라는 논리로 확대 재생산된다. 이런 상황은 피해자에게 또 다른 고통을 줌으로써 스스로 고립되거나, 자살 등 이차적 피해를 가져다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상이 국가폭력에 의해 억압되어 있다는 것을 오기섭은 `붉은 방`에서의 경험을 통해 인식하게 된다. 그러면서 동시에 일상의 시공간이 저항의 영역일 수도 있다는 것을 오기섭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느낀다. 국가폭력이 일상성을 띠고 있다면 그 국가폭력에 맞서서 저항하는 것도 일상을 떠나서는 안 되는 것이다.

This study, through the novel, the Red Room by Im Cheoru, is intended to reveal how the state violence is given shape. The traits of the characters in this novel will be examined as a solid method to solve the author`s challenge, the dilemma of the state violence with victims without offenders, which is still an important issue `here and now` The story is written in 8 chapters, which the odd chapters contain the victim Oh Giseop`s description and the even chapters the offender Choi Dalsik`s. In this study through Oh Giseop, shown will be the visibility, invisibility and banality from the state violence; through Choi Dalsik, the process of justifying the violence through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through Choi Dalsik and the investigators, the extreme and the commonness of evil. Through Choi Dalsik, the process where the experience of one`s family`s being killed by red communists is internalized as a kind of false belief in an individual and the aspect of justifying the violence based on the belief are shaped as a novel by the author. Besides, the consciousness of Choi Dalsik, changed into the calling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christianity, is becoming an absolute thing. Choi and the investigators are just normal, and their concerns are just the same as the common individual`s; health of their family, school expense of their children, and their declining years. People having these kinds of concerns committed the extremely evil doing under the mechanism of the State Power. There left only the commonness surrounded by hackneyed and conventional things, because the extreme evil, through the mechanizing process, is insensibly and unthinkingly committed and the doings repeated. Hannah Arendt called this kind of commonness the banality of evil. Oh Giseop experiences the visible and invisible violence together from the State Power. The result of the visible violence is not only jus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 but socio-psychological agony on the individual. Ambivalent is the socio-psychological agony on the victim from the state violence, for the violence tries to justify its illegal confinements, tortures, slaughters.... The state changes the victims into impure forces who are against the ideology of the state and defy the existing oder. So we are forced to generally think natural the violence on the victims by the state, and by legalizing the state`s illegal doings, the eyes to the victims from others and communities are changed into the thought that they have caused the violence by committing some illegal things to the states. This kind of surrounding may cause agony to them, resulting in self-isolation, suicide, etc. Lastly, through the physical pain, Oh Giseop recognizes that daily lives are oppressed by the state violence; then, he finds out on the way home that everyday`s space and time can be the land for the resistance. If the state violence is common, it has to be commonly normal to resist the violence.

1. 머리말
2. 정당화된 폭력의 심리적 기제 - 최달식
3. 극단적인 악과 악의 평범성 - 최달식과 수사관들
4. 국가폭력의 가시성과 비가시성 그리고 일상성 - 오기섭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