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246.203
18.224.246.203
close menu
KCI 등재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단어 단위에서 품사 분류 문제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Constitution and Range of Grammar Education Content in Linguistic Units for the Grammar Textbooks - Focusing on Issues of Parts of Speech Classification -
오현아 ( Oh Hyeonah ) , 조진수 ( Jo Jinsu )
새국어교육 109권 219-254(3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24639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2012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에 제시된 품사 관련 내용의 구성 양상과 범위를 검토하여 문법 교재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6종을 대상으로 `교육 내용 합의 지수`,`문법 지식 포함 지수`를 산출하여 품사관련 하위 내용 요소의 교과서 분포 양상과 교재별 포함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품사 관련 문법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서의 합의 정도가 높은 유형, 합의 정도가 낮은 유형, 교육 내용으로서의 가치가 쟁점적인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문법 교과서별 품사 관련 지식의 포함 수준 차이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 구성 방식의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검정 교과서 체제에서의 문법 교과서의 지향을 규범 문법 차원에서의 원형성 유지와 기술 문법 차원에서의 다양성 확대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uggestions for grammar textbooks from reviewing aspects and ranges of constituting contents relating to parts of speech presented in grammar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2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ed textbook distribution aspects and inclusion aspects by the textbook for sub-content element relating to parts of speech by yielding `education content agreement index,` and `grammar knowledge inclusion index` on a target of six different kinds of high school grammar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2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grammar knowledge relating to parts of speech into types of high degree of agreement as education content, types of low degree of agreement and types of argumentative values as education content, and discussed their appropriateness. Also, this study confirmed level difference in knowledge relating to parts of speech by the grammar textbook, and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accompanying textbook constitution method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directivity of grammar textbooks within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by dividing two dimensions such as archetype preservation in a dimension of standard grammar and diversity expansion in a dimension of descriptive grammar.

1. 서론
2. 연구 방법
3. 201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에서의 개별 품사 기술 양상
4. 검정 교과서 체제에서의 문법 교과서의 위상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