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251.22
18.226.251.22
close menu
KCI 등재
청년근로자의 고용형태, 차별경험과 건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주관적 건강과 우울/불안을 중심으로
Employment typ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health among young workers: Focused o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anxiety
정세정 ( Sejeong Cheong )
UCI I410-ECN-0102-2018-300-00050197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근로자(15세~34세)의 고용형태와 차별경험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제4차 근로환경조사를 활용하였다. 고용형태는 정규직 상용, 비정규직 상용, 비정규직 임시, 비정규직 일용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차별경험은 차별경험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이분하였다. 건강은 주관적 건강과 불안/우울을 활용하였으며,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정규직 상용근로자는 정규직 상용근로자에 비해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쁘고, 우울/불안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차별경험은 혼재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청년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불안장애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의 고용형태와 차별경험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파악한 첫 번째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typ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the health of young workers`(15-34 years). To do so,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was analyzed. Employment type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regular-permanent, irregular-permanent, irregular-temporary, and irregular-dail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as condensed into a dichotomy. As dependent variables,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anxiety were us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exploited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The results showed that irregular-permanent worker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poor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anxiety than did regular permanent employees. Moreove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anxiety after controll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loyment type and discrimination on health among young workers in Korea from a social science perspective.

I. 서론
Ⅱ. 이론적 고찰
III. 연구대상 및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