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53.5
18.221.53.5
close menu
KCI 등재
편의점의 `거대한 관대`와 현대 소비자본주의 도시적 삶 - 김애란의 소설 「나는 편의점에 간다」
`Colossal generosity` of a convenience store in the urban life of modern consumption capitalist society - Kim Ae-ran`s novel, I Go to a Convenience Store
정윤희 ( Joung Yoon-hee )
UCI I410-ECN-0102-2018-800-000248529

이 글은 김애란의 소설 「나는 편의점에 간다」(2005)에 형상화된 `편의점`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현대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도시적 삶이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서사의 공간적 배경인 편의점은 현대 도시인의 고독한 일상과 편의점의 `맥도널드화`가 가져온 비인간적인 측면을 매우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무엇보다 편의점은 현대인의 존재방식과 정체성을 규정짓는다. 20대의 여주인공 `나`는 `습관`처럼 편의점을 찾는다. 그녀는 그곳에서 `물건이 아니라 일상을 구매`한다. 편의점의 상품을 소비하는 행위는 그녀에게 잠시나마 비루한 삶에서 벗어나 `서울시민`으로서의 존재감을 확인하게 해준다. 중요한 것은 합리성, 효율성, 계산가능성 등 편의점의 첨단시스템과 영업방식이 오히려 비인간화를 초래한다는 점이다. 편의점은 물신화된 상품들과, 바코드와 스캐너에 의한 교환관계만 있을 뿐 개인에 대해 절대적으로 무심하다. 즉 편의점의 `거대한 관대`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부재한다. 편의점의 관심은 `내가 아니라 물이고, 휴지고, 면도날`이기 때문이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모든 것이 화폐가치로 환원되는 세계에서 개인이 어떤 인간적 관계나 소통 없이 소외만을 경험하는 현실을 고발한다. 소설 말미에 배치된 극적인 장면과, `편의점에 간다면 주위를 잘 살펴라`라는 충고는 냉담하고 각박한 현실에 대한 경종인 셈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urban life of modern consumption capitalist society is reproduced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convenience store` shaped in Kim Ae-ran`s novel, I Go to a Convenience Store (2005). Convenience stores, which are the spatial background of narrative, show very intensely the inhuman aspects brought about by the lonely daily life of modern urban people and the `McDonaldization` of convenience stores. More than anything, convenience stores define the way and identity of modern people. `I`, a 20-year-old heroine, looks for convenience stores like a `habit`. She `buys a daily life, not goods.` The act of consuming the goods at the convenience store allows her to confirm her presence as a `citizen of Seoul` by getting rid of her life which has been bruised for a whil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advanced systems and operating methods of convenience stores, such as rationality, efficiency, and computability, are rather dehumanizing. Convenience stores are absolutely mindless for individuals, only for fetish goods, barcode and scanner exchanges. In other words,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is absent from the `colossal generosity` of a convenience store. The interest of the convenience store is because it is “not me but a water, a paper handkerchief, a razor blade.” I Go to a Convenience Store accuses the reality that in the world where everything is reduced to the value of money, individuals experience only alienation without any human relationship or communication. The dramatic scene at the end of the novel, and the advice to `look around if you go to a convenience store` is an alarm bell to the frigid and exigent rea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