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3.255
18.191.13.255
close menu
KCI 등재
근대계몽기 우화 형식 단형서사 연구 ―미학적 한계와 양식 소멸의 문학사적 의미에 대하여
Study on the short narratives in the form of a fable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함돈균 ( Hahm Don-kyoon )
국제어문 34권 121-147(27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86685

이 연구의 목적은 근대계몽기 신문논설란에 나타난 우화 형식 단형서사물들을 통해 한국 근대소설사의 형성·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 시기 신문논설란의 단형서사물들은 당대의 문학적 리얼리티를 구현하는 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화 형식 단형서사는 논설적 의도와 문학적 형상화라는 이중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당대 신문논설란에서 즐겨 사용하던 단형서사 형식이다. 이 시기 우화 형식의 단형서사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논문은 이를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우화를 전통적 가치나 보편도덕을 가르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려는 경우이며, 둘째는 직설적 문답형식을 도입하여 현실적 시의성을 적극적으로 작품 속에 반영시키려는 경우이고, 셋째는 현실에 대한 시의성을 반영하되 그것을 가능한 한 우화라는 문학적 알레고리 형식 속에서 화해시키려는 경우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이든 우화 형식 단형서사의 이러한 세 가지 존재 양상은 이 양식이 당대에 지닐 수밖에 없었던 딜레마를 보여주는데, 이는 그것이 지니고 있는 미학원리상의 한계와 관련된 것이다. 즉, 알레고리를 통해 미적세계를 현실세계의 유비로 환원하는 우화 형식은 그것이 지닌 무시간성, 추상성, 선험적 질서에의 전제 등으로 인해 전근대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미적양식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이는 우화 형식의 단형서사가 논설적 의도를 전제로 탄생한 근대계몽기 단형서사의 현실적 목적과도 잘 부합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근본적으로는 근대적 세계관을 담을 수 없는 미적 형식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안국선의 「금수회의록」은 이 시기 우화 형식 단형서사의 가장 발전된 형태를 보여주는 작품이지만, 날카로운 현실비판 정신에도 불구하고 그 대안의 제시는 철저히 전근대적 세계관의 테두리를 벗어나지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금수회의록」을 마지막으로 고전·현대문학을 통틀어 한국문학사 전체에서 우화 형식의 서사가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되는 현상은 단지 민족적 위기의 심화라는 정치적 차원의 문제에서 비롯되는 현상이아니며, 이 형식을 가능하게 하는 미적 원리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징후적 사건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즉, 이는 우리 문학사가 일찍이 겪어보지 못했던 낯선 경험들, 예를 들면 직선적 시간관의 출현, 분열된 내면을 지닌 개인의 탄생, 우주적 규범의 소멸과 공동체적 원리의 상실 등 「무정」 이후의 문학, 본격적으로는 1920년대 이후 이상과 박태원 등과 같은 새로운 문학적 세계관의 출현을 예비하는 징후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금수회의록」 이후 한국소설사에서 서사의 원리는 한문단편, 전(傳), 야담등 전통 서사양식의 주요한 세계관이 되었던 우화적 세계관으로부터 한층 분명히 벗어나는 미학원리를 생산하는 길을 가게 되었던 것이다.

Since late 1990s,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novels, discussions about the enlightenment spirit of the times and the importance of role that the newspaper-the new medium played as a mean of manifesting the sprit are becoming common opinion to the scholars of this field. Concerning that,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a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s. Since that time, the scholars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s have thought that narrative internal desire and the feature of medium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literature. This thesis highly accepted that opinion The direct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s by the short narratives in the form of a fable on the newspaper editorial column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The short narratives of the newspaper editorial column that time show us a way of literary reality. Out of them, the short narratives in the form of a fable was written because of having an effect on editorial purpose and making literary form. It let us see various styles of short narratives. The first one is a method which educate a conventional moral and general view of the world. The second one is written to achieve a editorial purpose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through direct dialogue style narrative form. Third one is method which show us current event those days by taking maximum advantage of a fable-allegory form. But the short narratives in the form of a fable show its limit of aesthetic principle. Because it has pre-modernity, we say that the principle of sameness, of abstraction and timeless. They come into question, achieving a editorial purpose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An kook-sun, 「Kumsoowheyrok」 which successfully developed the short narratives in the form of a fable those days also show its limit of aesthetic principle for that reason. It sharply show us critical mind about politics and society-modern enlightenment spirit. But its aesthetic principle on the ground of a conventional view of the world was conservative. Next time, the text in the form of a fable is completely dis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This is a symptom of new aesthetic principle toward a new world. 1910s Lee Kwang-soo who successfully accomplished the narrative internal desire in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we say that enlightenment spirit, 1930s Lee Sang and Park Tea-won who symptomatically revealed ripped ego and world were representative protagonists of this new literary perio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