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197
3.144.113.197
close menu
KCI 등재
정전화(正典化)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서사 문학의 몇 장면
The Position of Joseon Period Narrative Lit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Canonization
신상필 ( Shin Sang-phil )
국제어문 71권 7-32(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39957

본고의 주안점은 문학의 사적(史的) 과정에서 형성된 모범적 문학 작품 만들기, 또는 문단에서의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인정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정전화(正典化)의 관점을 조선시대의 서사문학에 연계시켜보는데 있다. 정전, 혹은 정전화의 문제는 근대라는 새로운 제도적 관계망의 형성과 관계된다는 점에서 조선시대라는 근대이전시기에 적용된 연구 사례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특히 문학의 경우 문단, 출판, 교육 등의 근대적 제도와 함께 작품에 고전(古典)의 지위가 부여된다는 점에서 조선시대의 서사문학에 대한 정전의 논리는 적용되기 어려운 대목이 있다. 하지만 성리학의 철학적 사유 체계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제도의 정착 속에서도 서사문학은 자신만의 개성과 매력을 발산하며 독서 대중의 인기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전등신화(剪燈新話)』와 『오륜전비기(五倫全備記)』는 조선중기에서 후기에 이르는 시대와 조선 전국을 아우른 지역은 물론 아동에서 성인에 걸친 광범한 영향력을 획득해 내었다. 더구나 『전등신화』는, 유학(儒學)의 고전이자 정전인 `사서(四書)`를 대신하여, 『유합(類合)』·『동몽선습(童蒙先習)』·『십구사략(十九史略)』과 함께 `향숙(鄕塾, 향촌 학교)의 사서`라는 절대적 지위를 누리거나, 『오륜전비기』가 『소학(小學)』를 밀쳐내고 `역과(譯科) 삼서(三書)`에 꼽힌 경우가 그러하다. 이는 정전화의 측면에서 `아래로부터의 정전화`라고 부를 수 있으며, 근대를 통해 `시`와 함께 문학의 왕좌를 차지할 `소설`의 위대한 등장을 예고한 것으로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

The major focus of this study is linking the viewpoint of canonization, which is establishing a model literary work created dur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literature or the stabilization work on authors and literary works in the literary circle, to the narrative literature of Joseon period. The issue of canon or canonization is related to the forming of new systematic relation network during the recent age; therefore, the studies on canonization applied to the Joseon period, which is before the recent age, are very rare. Especially in literature, the position of a classic to a literary work is given together with the modern system such as literary circle, publishing and educa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logic of canonization on the narrative literature of Joseon period. However, the narrative literature during Joseon period could draw popularity from the reading public by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attraction within the settlement of various social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philosophical thinking system of Neo-Confucianism. Representatively, the `Jeondeungsinhwa`(剪燈新話) and the `Oryunjeonbigi`(五倫全備記) had extensive influence on adults and children covering the whole Joseon kingdom and the period from the middle to late Joseon period. The `Jeondeungsinhwa`(剪燈新話) obtained the absolute position as one of the `the four major books`(四書) in `country schools`(鄕塾) together with `Yuhap`(類合), `Dongmongseonseub`(童蒙先習) and `Sibgusaryak` (十九史略), replacing the `the four major books`(四書), which are all the classics and canons of the Confucianism. Meanwhile, the `Oryunjeonbigi` (五倫全備記) was listed as one of `the three major books`(三書) in the examination recruiting government officers responsible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譯科), replacing the classic book, `Sohak`(小學). These can be said as `the canonization from the bottom` from the viewpoint of canonization and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se were the prediction of the great appearance of `novels` in the recent age, which took the throne of literature in the recent age together with `poems`.

1. 들어가는 말
2. 획득과 소유형: 욕망의 서사
3. 운명과 거부형: 탈주의 서사
4. 욕망의 문제
5. 마무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