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9.50
18.119.139.50
close menu
KCI 등재
황지우의 1980년대 초중반 시에 나타난 신중산층 재현 양상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New-Middle Class in the Hwang, Ji-u`s Poems of 1980`s Early and Middle
강정구 ( Kang Jeong-gu ) , 김종회 ( Kim Jong-hoi )
국제어문 71권 67-88(2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39977

1980년대 초중반의 신중산층은 당대의 중산층담론에서 민중계급과는 다른 차원에서 사회의 개혁·발전에 기여한 대안적·복수적인 계층으로 이해됐는데, 이시기의 황지우 시에서는 이러한 신중산층의 모습과 그 특성이 실감나게 잘 재현됐다. 그의 시는 특유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인 위치를 지닌 신중산층의 실제적·실체적인 이해·인식을 구체화한 것이었다. 지금까지 황지우의 1980년대 초중반 시는 주로 정치적 비판과 해체주의 전략이라는 두 요소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는데, 이 글에서는 신중산층을 다룬 시라는 시선으로 접근했다. 첫째, 황지우의 시에서 시적 화자를 비롯한 주요 인물들을 신중산층으로 전제한 뒤에 그들이 지배계급과 민중계급 사이에서 분명한 계층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분석했다. 시적 화자는 스스로 신중산층이라는 계층귀속의식을 지녔고 자기 계층의 인물들과 함께 어울렸으며, 다른 계급과는 분명히 구별된다는 차별적인 계층의식을 보여줬다. 둘째, 1980년대 초중반의 신중산층은 현실 개혁에 대해서 비교적 진보적인 입장을 드러내면서도 안정과 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중간자적인 성향을 지녔는데, 황지우가 그의 시에서 이러한 신중산층의 성향을 잘 포착했다. 그의 시에 나타난 신중산층은 지배계급이 유도하는 사회 안정을 중요시하되 그 안정의 이면에 개인적인 희생이 은폐됐음을 폭로했고, 민중계급처럼 현실 개혁을 강력히 원하면서도 자기 내면의 변화(자기 개혁)를 우선시·중요시했다. 셋째, 황지우 시 속의 신중산층은 사회체제의 틀을 인정하고 부분적인 문제점과 자신을 비판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의 시에서 신중산층은 당대의 사회체제 틀을 인정하면서도 부분적인 문제점을, 나아가서 그 문제점을 지니게 되는 자기 모습을 스스로 비판했다. 황지우의 1980년대 초중반 시는 한국시사에서 보기 드물게 신중산층의 모습과 그 특성이 타(他)계급과 구별된다는 것을, 더욱이 신중산층이 당대의 현실을 생생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실감나게 서술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인 의미와 가치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representation of new-middle class in the Hwang, Ji-u`s poems of 1980`s early and middle. In the 1980`s mimjung-discourse, middle class who contains new-middle class is not important, because middle class is not the minjung-class or is those who absorbs in minjung-class. But in the Hwang, Ji-u`s poems, new-middle class of 1980`s early and middle means those who develops in their society and represents reformer. New-middle class in the Hwang, Ji-u`s poems is the very important man in his society. New-middle class has his unique consciousness of class beside capitalist and laborer. And new-middle class pursues social security of living and change simultaneously, but capitalist seeks mainly social security of living and laborer pursues social change. Also new-middle class criticizes and recognizes the frame of social structure and many social issues of society. The Hwang, Ji-u`s poems of 1980`s early and middle is important that his poems focuses on the representation of new-middle class and his nature in history of korean poetry.

1. 서론
2. 현진건의 독서와 번역, 그리고 창작
3. 「나들이」의 연장선에 선 「운수 좋은 날」
4. 은폐된 연속성과 「운수 좋은 날」의 고유성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