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36.199
18.219.236.199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평가양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ve Modality
김병건 ( Kim Byeong-keon )
국제어문 70권 7-28(2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318913

지금까지 `명제에 대한 화자의 의견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양태`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많은 부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평가양태의 설정 도 그러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서 평가양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들 은 체계적인 하위 영역을 가짐을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전 연 구를 통해 평가양태 설정이 가능함을 보이고, 3장에서는 평가양태는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그 하위 범주는 어떻게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에서 평가양태를 실현하는 형태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어떤 형태가 정감성을 표시하고 구체적인 속성 값을 가지며, 이 값이 맥락이나 억양 등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면 평가양태로 볼 수 있으며, 이 평가양태는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로 하위분류할 수 있다. 부정 평가의 형 태는 종결어미인 `-을라`, `-는담`, `-는다나`, 연결어미인 `-는답시고`, `-ㄹ세라`, `-다가는`, 우언적 구성인 `-게 생겼다`, `-고 들다`, `-기 일쑤이다`, `-는 통에`, `- 아 대다`, `-은 나머지`, `-랬자` 등이고, 긍정 평가의 형태는 `-고 싶다/싶어 하 다`, `-으면/는다면 몰라도`와 같이 실현되지 않은 또는 실현될 수 없는 바람 (wish)을 표현하는 것들이다.

Thus far,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researches on a `modality`, which means a speaker`s view or attitude about a proposition`, but they`ve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in many respects. The same goes for the setting of evaluative modality.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at evaluative modality can be set in Korean language and they have systematic sub-domains. For this study, Chapter 2 displays that it is possible to set evaluative modal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hapter 3 explains what evaluative modality are specifically and which sub-domains they have. Chapter 4 considers the forms to realize evaluative modality in Korea and the meaning. The study finding shows that affectivity expressed and specific attribute values depend on the forms, evaluative modality can be achieved, otherwise these values result from a context or intonation and these evaluative modality can be classified into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evaluation. The forms of negative evaluation are final endings; `-eulra`, `-neundam` and `-neundana`, connective endings; `-neundapsigo`, `-eulsera` and `-daganeun`, and periphrastic constructions; `-ge sanggyeotda`, `-go deulda`, `-gi yilssuyida`, `-neun tongae`, `-ah daeda`, `-eun nameoji`, `-ratja` and so on. The forms of positive evaluation are to express wishes, which are not realized, or cannot be realized like `-go sipda/sipeohada` and `-eumyeon/neundamyeon molado`.

1. 머리말
2. 이전 연구
3. 한국어 평가양태의 설정
4. 한국어 평가양태의 형태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